전국 최초 스마트폰 '안심영상 서비스' 시작
앞으로 CCTV가 없는 외진 귀갓길에서도 서울시 '안심이앱'으로 내가 촬영하는 영상을 관제센터로 보내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위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즉시 경찰 출동까지 지원된다.
서울시는 안심이앱을 전면 개편해 이같은 '안심영상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안심이앱은 서울 전역 11만대의 CCTV를 연계한 안심귀가 앱으로, 긴급 신고할 경우 사용자 주변의 CCTV를 자치구 CCTV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구조를 지원한다.
새로 도입된 안심영상 서비스는 2023년 관악산 둘레길 사고로 CCTV 사각지대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마련됐다. 안심영상 서비스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스마트폰 플래시가 켜지고 촬영이 시작되며, 주변에 CCTV가 있을 경우 사용자 주변 CCTV 3개에 스마트폰 영상까지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안심영상 서비스로 촬영된 영상은 시 서버에 최대 30일간 저장된다. 안심영상 설정 페이지에서 영상 저장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안심이앱 개편을 통해 기존 지도 위주였던 메인화면을 주요 서비스 위주로 배치해 직관성을 높였다. '휴대용 안심벨(헬프미)' 메뉴도 메인화면으로 이동시켰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이상동기범죄 등으로 편안해야 할 일상에서 불안감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다"며 "서울시는 시민들의 일상 안심을 지켜드리기 위해 안심영상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하게 됐다"고 전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