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화재감지기 등 8종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가 오는 12월까지 화재 예방과 초기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화재 안전 취약자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14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고령화와 농산어촌 중심의 지역 특성을 고려해 화재 발생 시 자력 대피가 어려운 계층을 보호하고, 화재 초기 대응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소방관서가 설치되지 않은 읍·면 지역 주민을 최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해 보다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4년간 도내 화재 사망자 52명 중 60세 이상이 35명(67%)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농촌지역 거주자가 33명(63%)에 달해 고령층과 농촌 거주자의 화재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45년까지 전북특별자치도 총인구의 42.5%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통계청)되는 등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전북특별자치도 화재 안전 취약자 지원에 관한 조례’ 제5조에 따라 추진되며, 소방본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내 1만5,270가구에 소방시설 및 안전 물품을 보급할 계획이다.
지원 물품은 ▲소화기 ▲화재감지기 ▲가스누설경보기 ▲안전 손잡이 ▲미끄럼방지 매트 ▲구조손수건 등 총 8종으로, 가구당 약 3만원 상당의 지원이 제공된다.
지원 대상자는 소방관서 미설치 지역의 70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로 우선 선정되며, 노인과 장애인의 거주 환경을 고려해 맞춤형 안전 물품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오숙 소방본부장은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평소 화재 예방과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사업은 일회성 사업에 그치지 않고 성과분석 후 계속 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도내 화재 취약계층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김우관 기자 woogwank@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