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우려가 현실로…본디 美법무장관, 트럼프 보복 나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취임식서 '공직자 조사용' 내부기구 설립 지시
트럼프 기소한 검사·FBI 요원 조사 목적
'법무부 2인자' 보브 차관도 적극적 편들기

팸 본디 전 플로리다주 법무장관이 지난달 15일 미 법무장관 지명자에 대한 미 상원 법사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본디 법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취임 첫날 법무부와 산하 연방수사국(FBI)에 대한 보복에 착수했다./ AFP·연합

팸 본디 전 플로리다주 법무장관이 지난달 15일 미 법무장관 지명자에 대한 미 상원 법사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본디 법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취임 첫날 법무부와 산하 연방수사국(FBI)에 대한 보복에 착수했다./ AFP·연합

AD
원본보기 아이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팸 본디 법무장관이 취임 첫날부터 법무부와 산하 연방수사국(FBI)에 대한 보복에 나섰다. 법무장관 후보로 지명될 때부터 제기됐던 우려가 현실화한 셈이다.


뉴욕타임스(NYT)는 5일(현지시간) 본디 장관이 이날 취임식에서 '정치적인 동기로 사법 시스템을 무기화한 공직자'를 조사할 내부 기구를 만들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트럼프 대통령을 다양한 혐의로 기소한 검사와 압수수색 등 수사에 참여한 FBI 요원 등을 조사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구체적인 조사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본디 장관은 앨빈 브래그 맨해튼지검 검사장과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 잭 스미스 전 특검을 조사 대상으로 언급했다. 브래그 검사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성 추문을 입막음하기 위해 돈을 지불하고 회계장부를 조작했다는 혐의로 기소했고, 제임스 검찰총장은 트럼프 그룹의 자산가치 조작 의혹과 관련해 민사소송을 제기한 인물이다. 스미스 전 특검은 트럼프 대통령을 2020년 대선 결과 뒤집기 시도와 기밀문서 유출 등 혐의로 기소했다.


또한 본디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을 반대하는 검사들을 조직에서 사실상 쫓아내겠다고 경고하는 업무명령에도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목표를 충실하게 이행하지 않으려면 사표를 내라는 지시다.


본디 장관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될 때부터 자질 논란을 불렀던 인물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행정부 시절 표적 수사를 받았다면서 법무부에 대한 보복을 시사한 상황에서 측근인 본디 장관이 독립성을 지킬 의지가 있겠냐는 이유에서였다. 실제로 본디 장관은 2023년 폭스뉴스에 출연해 연방정부의 기득권 집단을 의미하는 '딥스테이트'(Deep State)라는 표현과 함께 "법무부 소속 검사들은 기소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법무부의 이인자인 에밀 보브 차관도 이날 전체 FBI 요원에게 발송한 메모를 통해 브라이언 드리스콜 FBI 국장 대행이 자신의 지시에 불복종했다면서 공개 비판했다. 보브 차관은 2021년 1월 6일 의회 난동 사태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자들을 조사한 요원들의 명단을 제출하라고 지시했으나 드리스콜 국장 대행은 FBI를 그만두더라도 부하 요원들의 명단을 제출할 수 없다고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보브 차관은 의회 난동 사태를 조사한 요원 명단 제출을 지시한 이유에 대해 "특정 FBI 요원들의 윤리적 문제나 절차적인 위반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라고 밝혔다.


한편, 본디 장관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실망시키지 않겠다"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