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매학회와 국립현대미술관은 12일부터 치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일상예찬-함께 만드는 미술관' 프로그램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대한치매학회는 2012년부터 매년 기획프로그램으로 외부 활동이 어려운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나들이를 지원해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일상예찬 캠페인을 진행해오고 있다. ADL은 자신을 돌보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복합적인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을 뜻한다. 대소변 가리기, 화장실 사용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걷기 등과 같은 기본적이고 육체적인 기능이 포함된다.
일상예찬 캠페인 중 국립현대미술관과 함께 진행되는 ‘일상예찬-함께 만드는 미술관’은 올해로 10주년을 맞아 이달 중 총 10회 진행된다. 서울 및 경기지역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모집한 치매 환자 및 보호자 200여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일상예찬 프로그램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첫 조경 전시인 1세대 정영선 조경가의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전시와 연계해 진행된다. 치매 환자와 보호자는 전시마당 정원에서 한국 고유의 야생화와 나무들을 통해 자연 속에서 예술 작품을 만나보고 직접 전시와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나무, 돌, 꽃, 흙 등 자연을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다.
최성혜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인하대병원 신경과 교수)은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 저하로 보호자는 큰 어려움을 겪고 간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도 커지고 있다”며 “이번 일상예찬에 참여한 치매 환자들과 보호자들이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속에서 활력을 얻는 시간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대한치매학회는 많은 치매 환자와 보호자들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10년 동안 일상예찬을 함께 진행하면서 매번 많은 환자와 보호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예술작품과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일상예찬이 지속해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