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핀테크 산업이 금융 생활의 전면에 등장함에 따라, 산업 자체를 육성하는 동시에 소비자 보호도 병행할 수 있는 형태의 금융감독이 필요하다."

아시아경제와 금융보안포럼 주최로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9회 아시아경제 금융 IT포럼'에서 전길수 금융감독원 IT핀테크전략국장이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전길수 금융감독원 IT핀테크전략국장은 전 국장은 핀테크 산업의 발전과 이를 접목한 금융플랫폼의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과거에는 인증 절차가 영업점에서 직접 얼굴과 신분증을 대조하며 이뤄졌다면, 공인인증서의 시대를 거쳐 이제 비대면 실명확인이나 생체인증의 시대로 넘어왔다는 것이다.
그는 "핀테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민간 자율 중심의 생태계 조성 기반이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규제도 민간 자율기구를 중심으로 시장 성숙도에 따라 바람직한 영업 준칙 등을 정비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스몰라이선스 등을 통해 금융업 인가 요건을 완화하고, 신종 금융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이나 약관심사의 적시성을 확보하는 등 규제개혁을 통해 핀테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 국장은 규제 완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보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 간 교차서비스 증가에 따른 책임 관계의 모호성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온라인 기반 사업자에 대한 공시기준 강화와 온ㆍ오프라인 결합서비스 감독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 국장은 국내에 핀테크 트렌드로 ▲핀테크 기업 인수ㆍ합병 확대 ▲빅테크의 시장 잠식 가속화 ▲핀테크 기업과 금융기관 협력 ▲종합 금융플랫폼 확장 ▲금융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레그테크 투자 증가 ▲인슈어테크의 성장 ▲블록체인 기술 적용 확대 등을 꼽았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