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몸집 커지는 ETF… 양극화 골도 깊어져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2월 운용자산 규모 46조원 돌파
1위 삼성운용 순자산총액 전체 시장 51%
특색 있는 전략·상품 필요

[아시아경제 구은모 기자]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지속적으로 몸집을 키워가고 있지만 종목별 거래대금과 거래량은 물론 운용사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 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하려면 특색 있는 전략과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ETF 운용자산 규모는 지난 2월 46조원을 돌파하는 등 꾸준히 커지고 있다.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ETF 427종 가운데 올해 하루 평균 거래량이 1000주 미만인 ETF는 지난 7일 기준 총 77종목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일평균 거래량이 100주 미만인 종목도 30종목에 달했다. 같은 기간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1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종목도 24종목으로 조사됐고, 역시 하루 거래대금이 10만원도 되지 않는 종목도 3종목이나 됐다.

거래가 부진한 ETF 종목은 매수호가와 매도호가 간 간격을 의미하는 '호가스프레드' 확대 등으로 손익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ETF 시장은 원활한 거래를 위해 일정 수준의 유동성을 제공하는 유동성공급자(LP)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거래소는 가격괴리가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LP들이 호가스프레드를 일정 수준 이하에서 유지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거래가 활발하지 못하면 호가의 차이가 벌어져 수익을 실현하거나 손절하는 데 있어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정성인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전략팀장은 "매수호가와 매도호가가 벌어지면 본인이 생각하는 적정가치가 아닌 시장가격으로 매매할 수 밖에 없어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몸집 커지는 ETF… 양극화 골도 깊어져
AD
원본보기 아이콘

투자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종목은 설정액 감소 등으로 상장폐지되기도 한다. 거래소는 교보악사자산운용의 ' 파워 단기채 ' ETF를 이달 31일에 상폐할 예정이다.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223조4호에 따르면 설정 후 1년 이상 지난 ETF가 한 달 이상 신탁원본액이 50억원을 밑돌면 해지 절차에 따라 상폐를 진행한다. 파워 단기채도 신탁원본액이 13억원으로 감소하면서 운용사 측이 상폐를 요청했다. 2006년 이후 상폐된 ETF는 지난해 7종목 등 총 54종목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ETF가 상폐되면 손익이 확정돼 손실을 만회할 기회가 사라진다. 물론 ETF는 상폐되더라도 일반 주식이 상폐될 때처럼 투자금을 거의 잃게 되는 것은 아니다. ETF가 투자한 기초자산은 운용사로부터 독립된 수탁은행에 보관돼 있고, 운용사는 이를 매각해 현금화한 뒤 상폐 시점에 평가한 순자산가치대로 투자금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폐와 함께 돌려받는 투자금에 대해선 배당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다. 배당소득세는 장내 매도하는 경우에만 면제되고 환매 시에는 부과되기 때문에 배당소득세 부과대상이 아닌 국내 주식형 ETF는 상폐 전에 매도해야 세금을 아낄 수 있다.


ETF 시장의 격차는 운용사별로도 뚜렷하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15개 ETF 운용 사업자 가운데 업계 1위인 삼성자산운용은 101개의 ETF를 운용하고 있고, 순자산총액은 20조9996억원으로 전체 ETF 시장의 51%에 달한다. 122개의 ETF를 운용하는 2위 사업자 미래에셋자산운용도 9조8769억원으로 24%를 차지해 두 회사의 비중이 4분의 3에 이른다.

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운용사들이 특색 있는 전략과 상품군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투자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운용사들이 시장대표지수 등 천편일률적인 전략을 가지고 마케팅을 하다 보니 오히려 시장 양극화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면서 "해외시장과 대체자산 등 상품으로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직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시기인 만큼 다양한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데는 대체로 동의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온다. 다른 운용사 관계자는 "1, 2위 업체가 웬만큼 경쟁력 있는 상품라인업은 선점했다"며 "여전히 차별성을 기할 수 있는 영역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투입 대비 효과가 크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6년 만에 솔로 데뷔…(여자)아이들 우기, 앨범 선주문 50만장 "편파방송으로 명예훼손" 어트랙트, SBS '그알' 제작진 고소 강릉 해안도로에 정체모를 빨간색 외제차…"여기서 사진 찍으라고?"

    #국내이슈

  • 美대학 ‘친팔 시위’ 격화…네타냐후 “반유대주의 폭동” "죽음이 아니라 자유 위한 것"…전신마비 변호사 페루서 첫 안락사 "푸바오 잘 지내요" 영상 또 공개…공식 데뷔 빨라지나

    #해외이슈

  • [포토] 정교한 3D 프린팅의 세계 [포토] '그날의 기억' [이미지 다이어리] 그곳에 목련이 필 줄 알았다.

    #포토PICK

  • 제네시스, 中서 '고성능 G80 EV 콘셉트카' 세계 최초 공개 "쓰임새는 고객이 정한다" 현대차가 제시하는 미래 상용차 미리보니 매끈한 뒤태로 600㎞ 달린다…쿠페형 폴스타4 6월 출시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뉴스속 용어]日 정치인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한·중 항의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