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증권사 이경주 연구원은 “중국향 분유 수출이 정치적 이슈로 최근 부진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미 1~2월 국내 유가공업체의 중국 수출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56.7%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매일유업의 1분기 수출액도 56.0% 증가한 78억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1분기는 라벨 교체 등 이슈로 수출액이 50억원에 불과했다.
이 연구원은 또 “흰우유도 적자율에 큰 개선은 없어도 푸쉬 마케팅 약화로 적자 규모는 축소되고 있으며, 국내 원유 재고 감소 상황을 고려할 때 여전히 올해 실적 개선에 기여가 예상된다”고 했다.
별도기준 매출액 비중이 12% 정도인 발효유와 가공유는 ‘매일 바이오’ 브랜드 강화와 flavor추가의 확장 전략으로 신제품 출시 증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이 음식료 평균과 글로벌 동종 업체 대비 각각 39.0%, 46.5% 크게 낮아 지주사 전환 전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고 했다. 다만 주가 상승에 따른 워런트(Warrant) 행사(행사 가능 주식 수는 발행 주식 대비 9.6%) 우려로 단기적인 상승 탄력은 다소 둔화될 수도 있다고 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