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TV에 공급한 디스플레이 제조사별 현황 (출처 : IHS)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삼성전자 가 생산하는 TV의 약 68%를 중국·대만 디스플레이 업체로부터 공급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사인 삼성디스플레이가 제조한 패널 비중은 30% 아래로 떨어졌다.
24일 시장조사기관 IHS가 내놓은 'TV디스플레이 공급체인 현황(TV Display Supply Chain Tacker)'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한 달간 삼성전자 TV 제조를 위해 납품한 삼성디스플레이의 패널은 총 88만5000장으로 점유율은 25.1%에 그쳤다.
대만 패널업체 이노룩스는 삼성디스플레이와 비슷한 85만장을 삼성전자에 공급해 점유율 24.1%를 점했다. 이어 중국 차이나스타(16.9%), 중국 BOE(15.9%), 대만AU옵트로닉스(11.5%) 순으로 삼성전자에 납품했다. 중국·대만 기업이 잠식한 삼성전자 패널 넘유율만 68.4%로 70%에 육박한 셈이다.
업계에서는 삼성 TV의 자사 패널 비중이 추락한 점을 충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지난해 같은 달에만 해도 삼성디스플레이의 삼성 TV용 패널 납품 비중이 40~50% 수준이었지만 올 들어 30% 수준, 3월에는 30% 아래로 추락했기 떄문이다.
다만 LG디스플레이 는 아직까지 중국, 대만 업체들로부터 시장을 덜 잠식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기준으로 LG전자 TV의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 점유율은 LG디스플레이가 70.9%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 BOE가 15.9%, 대만 이노룩스 7.5% 등으로 중국·대만 업체 비중 합계는 30% 미만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정부로부터 막대한 지원금을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 설비를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며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LCD(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신규투자를 중단하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로 눈을 돌리는 것도 이와 같은 중국의 추격 때문"이라고 전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