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가계대출 최대 증가폭 최대
수도권 주담대 취급 감독 강화
가계대출 증가속도 빠른 은행 모니터링
지난달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원 증가했다. 이는 올해 가장 큰 증가폭이다. 금리인하, 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영끌' 수요가 몰리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중심으로 늘었다는 설명이다. 금융당국은 수도권 중심으로 주담대 관리·감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은행, 은행연합회, 5대 은행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5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원 증가했다. 올해 들어 가장 큰 가계대출 증가 폭이다. 가계대출이 급증했던 4월 증가 규모(5조3000억 원)보다 7000억원 늘었다.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는 주담대가 견인했다. 주담대만 전월 대비 5조6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3조7000억 원→4조2000억 원)과 제2금융권(1조1000억 원→1조5000억 원) 모두 전월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4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월 증가폭보다 1000억원 줄어든 수치다. 신용대출 증가폭이 8000억원으로 전월(1조2000억원)보다 축소된 영향이다.
업권별로 보면 5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5조2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4월(4조7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늘었다. 주담대가 2조5000억원으로 전월(1조9000억원) 대비 확대됐지만 정책성 대출 증가 폭은 1조6000억 원으로 전월보다 2000억 원 줄었다. 기타대출은 1조 원으로 전월 증가 폭과 비슷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은 8000억원으로 전월 5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상호금융권은 증가(3000억원→8000억원)했고 저축은행은 소폭 축소(4000억원→3000억원)됐다.
금융당국은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과 연계돼 주담대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점을 고려해 관리·감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은행들은 투기 수요 등 부동산 시장으로 과도한 자금이 유입되어 과잉대출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체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하고, 금융감독원은 은행들의 주담대 취급 과정에서 대출규제 우회 사례가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금융권의 가계때출 증가세를 밀착 관리할 계획이다. 은행권에 대해서는 개별은행별로 월별·분기별 관리 목표 준수 여부 등을 집중 모니터링하며,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높은 은행에 대해서는 관리방안 협의 등 구체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소 확대된 2금융권도 업권별 협회 등을 중심으로 대출 관행과 대출 추이 등을 면밀히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다만 서민·실수요자들에 대해서는 맞춤형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부채는 아직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으나, 최근 금리인하 기조, 주택시장 호조 등 가계부채의 증가세 확대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엄중한 경각심과 일관된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금융회사들도 연초 대비 가계대출 행태가 다소 느슨해진 것은 아닌지 스스로 살펴보고, 특정 시기·지역에 자금이 쏠리거나 중단되지 않도록 월별·분기별 관리계획을 보다 엄격하게 준수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당국은 일관된 가계부채 관리 기조하에서 최근의 가계부채 증가 추이,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 과열 발생 시 준비된 조치를 즉각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