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제학 전 양천구청장 책 '인생별거 없어, 힐링하며 사는 거야!' 발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제학 전 양천구청장 책 '인생별거 없어, 힐링하며 사는 거야!' 발간
AD
원본보기 아이콘

'인생별거 없어, 힐링하며 사는 거야!'(저자 이제학 / 펴낸 곳 호두나무)라는 책이 나왔다.


아등바등 힘겹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살아가야 할 삶의 의미를 조근 조근 일깨워 준다. 삶의 의미를 못 찾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오직 나만을 위한 한 사람이 있는지 헤아려보라 한다.

사람으로 태어나 살아가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이고 오로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가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라고 역설한다. 순간순간의 선택이 그 사람의 태도와 습관을 낳고 결국 그 사람의 인생을 결정한다. 그 선택을 위해서는 어떠한 마음을 갖느냐가 중요하고 그 마음 밭을 어떻게 고요하고 평온하게 유지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얘기한다.


본문에서 저자는 "마음은 깊은 우물물과 같은데 그 우물에는 생각이라는 오만가지 가느다란 실치들이 시시때때로 떠다닌다. 그 실치를 붙잡으면 그 실치가 뱀장어처럼 커지고 더 꽉 움켜쥐면 이무기가 되어 나를 우물 속으로 끌고 들어간다. 세상만사 모든 것이 마음먹기 달려있는데 그 마음을 잘 들여다보고 다스리며 모든 생각들은 그냥 놀다가게 내버려 두어야 한다. 우주만물의 중심은 바로 나 내가 바로 서야 주변이 제대로 돌아간다"고 강조한다.


OECD 국가 중 연속적으로 자살률 1위, 행복지수 꼴찌라는 우리의 현실이 마음을 짓누른다. 구조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조심스런 터치와 동시에 무엇이 나를 행복하게 하는지를 살펴보고 나만의 힐링을 찾도록 권한다.

나만의 케렌시아를 만들고 그것을 습관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저자 스스로 견디기 힘든 고통의 나날에서 벗어나기 위해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로 훌쩍 떠나 옥죄어 오는 마음의 병을 어떻게 승화 발전시켰는지 슬쩍 보여준다.


천근만근 삶의 무게로 고통 받는 우리들에게 인생 별거 없다, 힐링하며 사는 삶을 화두로 던지며 나만의 힐링법을 찾아 실행할 것을 권하고 있다. 사람과의 소통, 마음과 영혼의 정화 및 사례를 통한 추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추천의 글


1.<인생 별거 없어, 힐링하며 사는 거야!> 이 책은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지난 8년간 늘 나와 함께 했다. 내가 책을 내면 그 책을 탐독하고 꼭 소감을 들려줬다. 이 시대의 화두인 힐링을 붙잡고 가는 그가 어떻게 성장해 갈 것인지 기대된다. 지친 몸과 마음의 안식처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세로토닌문화 원장 이 시 형


2.이제학의 마음에 관한 통찰이 빛난다.


"마음은 깊은 우물물과 같은데 그 우물에는 생각이라는 가느다란 실치들이 시시때때로 떠다닌다. 그 실치를 붙잡으면 뱀장어처럼 커지고 더 꽉 움켜쥐면 이무기가 되어 나를 우물 속으로 끌고 들어간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똑같은 조건과 상황에서도 어떤 사람은 절망을, 어떤 사람은 희망을 노래한다. 마음이 심란하고 상처 받고 있다고 느껴질 때 이 책을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따뜻한 답을 얻게 될 것이다.


아침편지 문화재단 이사장 고 도 원


저자 소개


이제학 그는 사단법인 힐링산업협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공헌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한 지 벌써 8년이 지났다. 그는 늘 사회의 약자 편에 서 왔다. 군사독재시절 민주화를 위해 서강대 총학생회장을 맡았고, 곧바로 노동현장으로 달려가 노동자들을 위한 삶을 살았다. 이후 경기문화재단 기획조정실장을 거쳐 양천구청장을 했으며, 소상공인연합회 상근부회장으로 소상공인들의 처우 개선에 앞장섰다. 최근에는 늦은 나이에 사회복지사 1급을 취득했고, 자살률1위 행복지수 꼴찌라는 우리 사회의 자화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힐링 전도사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역저로는 지역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로컬거버넌스와 목민관)와 불꽃처럼 365(다함께 희망양천의 기록)가 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