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카카오·매일유업·한솔제지와 업무협약
문 앞 상시 수거 체계 구축…쿠폰·리워드 제공
CJ대한통운이 전국에 종이팩 상시 회수 체계를 구축하며 '오네(O-NE)' 물류망을 활용한 재활용의 일상화에 나섰다.
CJ대한통운은 15일 한솔제지 대전공장에서 환경부, 카카오, 매일유업, 한솔제지와 함께 '온라인 플랫폼 활용 종이팩 택배회수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전국 가정에서 배출되는 종이팩·멸균팩을 수거 후 재활용하는 것으로, 수거 과정에서 오네 배송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종이팩을 박스에 담아 문 앞에 두고 카카오메이커스 앱에서 수거를 신청하면 CJ대한통운 배송기사가 방문해 회수하는 방식이다.
누적 수량이 많아질수록 쿠폰이나 유제품 등 리워드도 제공한다. 참여 희망자는 오는 19일 오후 5시부터 카카오메이커스 앱 내 '새가버치' 페이지에서 참여하기를 누르면 된다.
협약에 따라 환경부는 수거가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국민 참여를 독려한다. 카카오는 카카오메이커스 내 전용 페이지를 운영한다. 매일유업은 자사 제품 리워드를 제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한솔제지는 수거된 종이팩을 고급 종이 원료로 재활용한다.
종이팩과 멸균팩은 일반 종이류와 분리해 전용 수거함에 넣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은 데다 전용 수거함이 설치되지 않은 곳도 많아 재활용률이 2023년 기준 13%에 불과하다. 이에 각 가정에서 이용하는 택배망으로 수거하면 재활용률이 크게 높아질 것이란 기대다.
주최 측은 이 사업을 통해 향후 2년간 총 200t의 종이팩이 수거될 것으로 내다봤다. 소나무 약 4000그루를 보호하는 자원순환 효과에 해당한다.
앞서 CJ대한통운은 2023년부터 전국 1만여곳 이상의 어린이집에서 배출되는 종이팩을 수거 후 재활용하는 자원 순환 프로젝트를 통해 지금까지 총 107t의 수거했다.
윤진 CJ대한통운 한국사업부문 대표는 "CJ대한통운의 오네 인프라를 결합해 전국민 누구나 쉽게 생활 속 자원 순환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환경, 공동체를 위한 물류의 가치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