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침묵하던 해리스 "트럼프 관세정책 무모, 미국의 이상 대량폐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머지 아메리카' 20주년 기념식
정치권 복귀 무대라는 해석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미국의 이상을 대량으로 폐기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지난해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뒤 침묵을 지켜 오던 해리스 전 부통령이 새 정부를 콕 집어 저격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래 처음이다. 정치 행보 재개를 위한 몸풀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30일(현지시간) AP·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해리스 전 부통령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팰리스호텔에서 열린 민주당 여성 정치인 육성 단체 '이머지 아메리카' 20주년 기념식에서 이같이 연설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해리스 전 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모한" 관세 정책이 "불황을 불러올 것이 명백하다"며 "현대 대통령 역사상 가장 큰 '인공 경제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단순한 혼란으로 바라보면 안 된다며 "수십 년간 준비해 온 의제를 빠르게 실행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 "진실을 말하는 이를 처벌하고 추종자에 혜택을 주며 권력을 이용해 돈을 벌고 그 밖의 사람들은 방치하는, 편협하고 잇속만 차리는 미국의 비전"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 맞설 해법으로 '용기'를 제시했다. 해리스 전 부통령은 "그들은 누군가를 겁주면 나머지에도 위축 효과가 미칠 것이라는 생각에 기대고 있다"며 "하지만 전염되는 것은 공포만이 아니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용기도 전염된다"고 했다. 이어 "잃지 말아야 할 하나의 견제, 하나의 균형, 하나의 힘은 바로 사람들의 목소리"라고 독려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해리스 전 부통령이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공개 석상 연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한 것은 정치권 복귀를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의회에서도 소수파가 된 민주당이 트럼프 대통령의 독주를 막는 데 고전하자 해리스 전 부통령이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역할론'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특히 내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개빈 뉴섬 현 주지사는 3선 제한으로 퇴임할 예정이다. 블룸버그는 "가장 인구가 많은 캘리포니아 주지사 자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항할 강력한 플랫폼이 될 수 있지만 2028년 대선 출마에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AP는 이날 해리스 전 부통령이 참석한 행사가 일종의 '정치적 귀향' 성격이 있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해리스 전 부통령은 샌프란시스코 출신으로 이곳에서 정치적 경력을 시작했고, 이날 연설한 이머지 아메리카는 2000년대 초반 해리스 전 부통령의 캘리포니아주 검사장 선거 등을 계기로 성장한 단체다. AP는 "해리스 전 부통령이 정치권으로의 복귀 무대로 익숙한 장소와 친근한 청중을 선택했다"고 평했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