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중기부, AI 스타트업·제조 AI기업에 우수 인재 공급한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AI 인력정책 방향 점검
대기업-스타트업간 인재교류 활성화

중소벤처기업부가 인공지능(AI) 스타트업과 제조 AI 기업 등에 우수 인재를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중기부는 20일 서울 팁스타운 S1에서 오영주 장관과 국내 AI 스타트업, 제조 AI 기업,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방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AI 핵심 인재 확보가 곧 기술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재직자의 AI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올 2월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정책을 논의했고, 중기부는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점검회의는 이에 대한 연장선으로 AI 스타트업 및 제조 AI 기업 등에 우수 인재 양성·공급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0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방향 점검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0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방향 점검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산업연구원 민순홍 부연구위원은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양성 현황과 과제’에 대한 발제를 하고, AI 도입 기업의 애로사항 및 인력 현황,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AI 정책 전반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AI 프로젝트 기반 학습 도입 등 벤처·스타트업과 대학의 산학협력 강화, 재직자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인재 채용 및 근속 유도를 위한 정부 지원 방안 등 다양한 정책 과제들이 논의됐다.

유영준 뤼튼테크놀로지스 이사는 “해외 우수 AI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비자 정책 및 정착 지원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인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AI 스타트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지호 클레온 최고운영책임자는 “AI 인재 순환 프로그램 및 공동 R&D 프로젝트 등을 통한 대기업-스타트업 인재 교류 활성화, 스톡옵션 지원 확대를 통한 스타트업의 보상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LG AI 연구원 김유철 전략부문장은 “AI 인재 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성장환경의 조성”이라며 “프로젝트 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재직자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영주 장관은 “AI 국가대표 스타트업 육성 및 AI 기술과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우수한 AI 인재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라며 “우수한 인재가 스타트업, 제조 AI 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