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난해 위험에 처한 야생동물 3552마리를 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3034건) 대비 518건(17%) 증가한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당초 구조계획으로 2200마리를 예상했으나 이보다 1352마리 증가한 3552마리를 구조했다고 20일 밝혔다.
구조된 동물을 보면 조류가 2692마리로 전체의 75.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포유류 847마리(23.8%), 파충류 13마리(0.4%) 순이었다. 이 중 황조롱이, 하늘다람쥐 등 천연기념물 15종 470마리와 매, 수달 등 멸종위기종 17종 137마리도 포함됐다.
야생동물 구조 원인을 분석한 결과 조류의 경우 어미를 잃은 미아(50%)와 전선·건물과의 충돌(19%)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포유류는 차량 충돌(25%)과 기생충 감염(23%)이 많았으며, 특히 고라니와 너구리에서 이러한 원인이 두드러졌다. 파충류의 경우 인가 침입(69%)으로 안전에 대한 조치 차원에서의 구조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구조된 동물 중 1301마리(36.6%)는 치료 및 야생 적응 훈련을 거쳐 자연으로 복귀했다. 또 980마리(27.6%)는 폐사, 498마리(14.0%)는 안락사됐다.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로 센터에 도착한 동물(폐사체 등) 668마리를 제외한 실질 자연 복귀율은 45.1%로, 적극적인 치료와 재활을 위한 노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연숙 경기도 동물복지과장은 "야생동물 구조 사례가 급증한 이유는 도민들이 야생동물 보호의 중요성을 점차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신고해주셨기 때문"이라며 "신속하고 적극적인 구조와 치료를 통해 야생동물들이 자연으로 돌아가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