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수생도 늘어나는 추세
올해 서울대 정시 합격자 5명 중 1명은 ‘삼수 이상’ 수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출신 합격자는 절반을 차지했다.
7일 종로학원의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합격자 분석’에 따르면, 삼수 이상 합격생 비율은 21%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대 정시 합격자 중 삼수생 이상 비율은 ▲2016학년도 9.6% ▲2017학년도 8.5% ▲2018학년도 11.5% ▲2019학년도 15.3% ▲2020학년도 15.5% ▲2021학년도 16.6% ▲2022학년도 20.5% ▲2023학년도 17.6% ▲2024학년도 19.3%를 기록했다.
입시업계에선 의대 모집 정원 확대 이후 대학에 다니는 재학생들의 재도전이 늘어나면서, 일부가 서울대 정시에 합격해 삼수 이상 비율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재수생 규모는 36.4%로 전년(40.4%)보다 8.5%포인트 감소했다. 재수생에 삼수생 이상을 더한 ‘N수생’ 비율은 57.4%를 기록해 전년 59.7%보다 2.3%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재학생 합격자 비율은 40.3%로 전년 38.1%보다 증가했다.
2025학년도 수능이 1년 전보다 쉽게 출제되면서 고3 재학생과 재수생의 점수 격차가 줄었다는 분석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시 지역인재 전형이 대폭 확대되면서 재수생 중 학교 내신이 우수한 학생들이 그쪽으로 빠져나갔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학교별로는 일반고 출신이 999명으로 63.6%를 차지해 지난해(986명, 63.8%)와 비슷했다. 특목·자사고 출신 합격생도 올해 432명(27.5%)으로 지난해(427명, 27.6%)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소재 학생 합격자 비율은 46.8%로 지난해 44.7%보다 소폭 올랐다. 광역시 소재 합격생은 11.8%로 작년(14.5%)에 비해 줄었다. 상위권 지방 소재 학생들이 수시 지역인재전형 등에 상당수 합격해 서울 소재 학생들의 합격이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