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_progress
Dim영역

옆에서 불길 치솟는데…'식사' 안 멈추는 프랑스 시민들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연금개혁 반대 시위 속 태연한 시민 영상
"프랑스에선 권리와 식사가 가장 중요"

프랑스 정부의 연금 개혁을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도시 곳곳에서 잇따라 벌어지는 가운데, 아수라장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느긋하게 식사를 즐기는 시민들의 동영상이 인기를 얻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미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틱톡 등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는 프랑스 시민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 퍼지고 있다.

영상은 시위가 격화되는 도중 야외에 마련된 테이블에 앉아 평화롭게 식사를 즐기는 시민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들은 거리 주변에서 불길이 치솟고 고함과 굉음이 들리는데도 식사와 대화에만 열중하고 있다. 또 다른 식탁에 앉아있는 여성은 휴대폰을 손에 들고 문자에 열중하고 있으며, 한 남성은 통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기까지 한다.


연금 개혁안 반대 시위에도 불구하고 일상에 열중하는 프랑스 시민들 모습 [이미지출처=틱톡]

연금 개혁안 반대 시위에도 불구하고 일상에 열중하는 프랑스 시민들 모습 [이미지출처=틱톡]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영상은 지난 23일 프랑스 남부 보르도 빅투아르 광장에서 촬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 시위가 최고조에 이르렀던 때로, 당시 시위대는 인근 건물 유리를 부수거나 거리에 불을 질렀다고 한다. 보르도 시청 정문에도 화재가 발생했는데, 이 불은 1시간여 만에 진화됐다.


영상을 본 전 세계 누리꾼들은 프랑스인의 격렬한 시위 문화와, 그럼에도 제각기 할 일을 하는 다른 시민들의 모습에 감탄했다. "시위가 일상인 나라라 그런지 사람들도 평온해 보인다", "권리와 식사만큼 프랑스인에게 중요한 건 없다" 등 반응이 나왔다.

한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앞서 정년을 62세에서 64세로 늦추는 연금 개혁안을 발표한 뒤, 지난 16일에는 하원 표결을 생략하고 법안을 통과할 수 있는 헌법 특별 조항(49조 3항)을 사용해 법안 통과를 강행했다.


이에 대한 반발로 프랑스 전역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지난 23일 시위는 프랑스 내무부 추산 약 108만9000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으며, 이 가운데 수도 파리에서만 11만9000명이 시위에 참여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반대 여론을 설득하기 위해 지난 24일 오후 TF1, 프랑스2 방송 등과 생방송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오래 기다릴수록 (현행 연금 제도로 인한 정부 적자가) 악화된다"라며 개혁안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지만, 이후 프랑스의 거대 노동조합이 반발 성명을 내는 등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과자 한 봉지 7만원' 상인도 결국 사과 "코로나에 힘들었다" 하루 4시간에 월600만원 이 직업…'골프공 수거단' "평등 꿈꾸지 않는 당신을 위해" 분양가 수백억 아파트 광고 논란

    #국내이슈

  • "돈·시간 아끼려고…" 링거 꽂고 지하철 퇴근한 中여성 "포켓몬 스티커 준대"…'피카츄 비행기' 뜨자 어른들도 '동심 출장' '피눈물 성모' 조작 논란에…교황 "항상 진짜는 아냐"

    #해외이슈

  • "다리가 어딨냐, 된장 찌꺼기다" 벌레 둥둥 매운탕 "재난영화 방불…순식간에 집어삼켰다" 수에즈운하 뒤덮은 초거대 모래폭풍 성조기 흔들며 "中, 자유민주국가 돼야"…베이징 한복판 한 여성의 외침

    #포토PICK

  • 6월의 차 ‘푸조 408’…한국車기자협회 선정 韓에 진심인 슈퍼카 회사들…‘페람포’에 로터스까지 참전 현대차·기아, 5월 美 친환경차 月판매 역대 최대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이탈리아전에서도 터질까…'골 넣는 수비수' 최석현 [뉴스속 용어]흑인 인어공주가 논란 부른 'PC주의' [뉴스속 그곳]환경파괴 악명에 폐쇄된 '벤타나스 제련소'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