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_progress
Dim영역

[기자수첩]尹 지원사격 韓 기업들…가속페달은 정부 몫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16~17일 이틀간 일본을 방문해 한일 관계 정상화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 뒤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등 국내 5대 그룹 총수가 있다. 재계 총수들은 12년만에 복원된 한일 간 셔틀외교(상대국을 오가며 정상회담을 하는 것)의 전면에서 윤 대통령을 도와 한일 경제협력 활성화 추진체 역할을 하고 있다.

[기자수첩]尹 지원사격 韓 기업들…가속페달은 정부 몫
AD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발표된 정부의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도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뼈대 역할을 한다.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000억원) 등 6대 첨단산업분야에 투자되는 550조원은 민간 투자가 핵심이다. 예컨대 2042년까지 경기도 용인에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만들겠다는 정부 계획에는 삼성전자의 300조원 투자가 뒷받침된다.


LG는 인공지능(AI), 바이오, 클린테크 등 미래 성장동력 분야 육성을 위해 향후 5년간 54조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현대차그룹도 2025년까지 국내 시장에 63조원 이상을 투입해 국가첨단산업 육성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이와 같은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약속은 글로벌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이뤄졌다.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와 소비활력 감소로 반도체를 비롯한 국내 주요 수출 산업에 '빨간불'이 켜지고 기업 실적이 급속도로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해 지금 당장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도 되지만 첨단산업 육성이 국가안보로 직결된다는 정부의 인식에 공감하고 미래 먹거리에 투자해야 한다는 신념에 따라 힘을 보태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분야에서 경쟁국의 보조금·세액공제 지원 속도를 못따라간 우리 정부는 이번 첨단산업 육성전략을 계기로 전환점 앞에 섰다. 이제 대규모 민간 투자가 결실을 맺기 위해 중간에 사업 지체를 야기할 수 있는 장애요소를 치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민간 투자 실행 속도를 높이는 건 정부의 몫이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여긴 여자 없으니까 그만 좀"…강남 빌라 울분의 공지, 왜 동창도 몰라봤던 정유정 신상공개 사진…고교 졸업사진 보니 카이스트 출신 도연스님 '이혼·자녀' 의혹…"활동 쉬겠다"

    #국내이슈

  • '축구의 신' 메시, 사우디 오일머니 거부…"美 마이애미행 확정" "트럼프, 대통령돼선 안돼" 펜스, 美대선 출마 공식화(종합) "자유의 여신상도 희미…세기말 같다" 뉴욕 삼킨 '오렌지빛 연기'

    #해외이슈

  • 국토부 "수내역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 철도안전법 위반 여부 조사" "자유의 여신상도 희미…세기말 같다" 뉴욕 삼킨 '오렌지빛 연기' [포토]송영길 전 대표, 두 번째 검찰 자진 출석

    #포토PICK

  • 6월의 차 ‘푸조 408’…한국車기자협회 선정 韓에 진심인 슈퍼카 회사들…‘페람포’에 로터스까지 참전 현대차·기아, 5월 美 친환경차 月판매 역대 최대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中 세계 최대 규모로 완공한 '풍동' [뉴스속 그곳]폭우·지진·폭력에 위협 받는 '아이티' [뉴스속 인물]이탈리아전에서도 터질까…'골 넣는 수비수' 최석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