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RE100 주관 비영리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 韓 정부에 PPA 도입 등 6가지 재생에너지 정책 요구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모든 규모의 기업 구매자와 재생에너지 공급 업체 간에 직거래를 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달라."
4일 세계의 RE100 캠페인을 주관하는 영국 런던 소재 다국적 비영리기구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은 한국 정부에 이같이 요구했다. RE100은 2050년까지 사용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조달하는 캠페인이다.
자료=더 클라이밋 그룹
더 클라이밋 그룹은 이날 SK그룹의 7개사가 RE100 가입을 확정지었다고 밝혔다. SK홀딩스(지주사
SK
SK
0347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55,000
전일대비
27,000
등락률
+8.23%
거래량
738,671
전일가
328,000
2021.01.2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SK㈜, 첨단소재·그린·바이오·디지털 '투자전문회사' 탈바꿈 고비마다 '잭팟'‥SK㈜ 투자전략 임기 제한에…올 대기업 사외이사 84명 물갈이
close
)와
SK텔레콤
SK텔레콤
0176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63,000
전일대비
9,000
등락률
+3.54%
거래량
467,092
전일가
254,000
2021.01.2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동학개미가 쌓은 '9만전자'.. 공매도에 흔들리나 "SKT도 올렸다" 갤럭시S21 지원금 전쟁…이통3사 모두 최대 50만원 지원 떨어질 땐 함께였는데…반등장서 소외된 통신주
close
, SK브로드밴드,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0006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35,000
전일대비
6,500
등락률
+5.06%
거래량
4,953,957
전일가
128,500
2021.01.2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3200 안착 코스피, 1000 목전 코스닥 SK하이닉스, 외국인 44만 3769주 순매수… 주가 4.28% 외인·기관 매수세 반전…코스피, 장중 3200선 터치
close
,
SKC
SKC
01179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25,500
전일대비
4,000
등락률
+3.29%
거래량
705,476
전일가
121,500
2021.01.2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특징주]SKC, 52주 신고가 경신…동박·화학 재평가 성장 모멘텀 SKC, K-뉴딜지수(2차전지) 테마 상승세에 7.43% ↑ [클릭 e종목]"SKC, 동박사업 성장 지속…친환경 제품 확대"
close
,
SK머티리얼즈
SK머티리얼즈
03649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346,600
전일대비
6,600
등락률
+1.94%
거래량
38,881
전일가
340,000
2021.01.2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스피·코스닥 모두 강보합 출발 “주식카톡방 완전무료 선언” 파격결정 반등한 코스피, 3100선 탈환하며 상승마감
close
, SK실트론 등 7개사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RE100 가입을 선언했다.
이 단체는 "SK그룹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글로벌 RE100 이니셔티브의 일원이 됐다"며 "(7개사는) 칩 제조, 화학, 바이오 무기, 통신 등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데 모두 합치면 연간 31테라와트 이상을 쓴다. 이는 한국 전력 사용량의 5%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SK 그룹사들은
한국전력
한국전력
0157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4,450
전일대비
300
등락률
+1.24%
거래량
4,659,946
전일가
24,150
2021.01.2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한국전력, 최근 5일 개인 380만 6948주 순매수... 주가 2만 4400원(+1.04%) 산업장관 "한파로 전력수요 폭증했지만 수급유지 잘했다" 한국전력, 최근 5일 기관 440만 1195주 순매도... 주가 2만 5100원(-0.79%)
close
을 통한 '녹색 계약'과 자생 사업,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등을 혼합해 단계적으로 목표를 향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자료=더 클라이밋 그룹
이 단체는 한국 정부에 공식적으로 PPA를 도입하라고 요청했다. '제3자'인 한전이 아니라 재생에너지 업자로부터 재생에너지를 직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라는 의미다.
앞서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7월 PPA법을 대표발의했지만, 지난달 26일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야당 반발로 통과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단체는 한국 정부에 "모든 규모의 기업 구매자-재생에너지 공급업체 직거래가 가능한 시장구조 형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PPA법을 도입하라는 의미다.
이외에도 ▲재생가능 전력-화석연료 전기 간 공정경쟁 환경 조성 ▲기업의 재생에너지 소싱 촉진 ▲전기공급자에 기업용 재생에너지 소싱 옵션 제공 ▲현장 및 외부 재생 전기 프로젝트에 대한 직접 투자 촉진 ▲경쟁적으로 가격이 책정된 '환경성 인증서(EAC·Environmental Attribute Certificate)를 발급해 투명한 시스템 지원 등을 요구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Please activate JavaScript for write a comment in LiveR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