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원규 기자] 삼성,
현대차
현대차
0053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5,000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1,153,198
전일가
235,0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스피 3000 대결.. 리커창 vs. 파월 현대차, 최근 5일 외국인 73만 7460주 순매도... 주가 23만 500원(-1.91%) 코스피 장중 3000 붕괴.. 파월에 실망
close
,
SK
SK
0347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65,500
전일대비
7,500
등락률
-2.75%
거래량
448,632
전일가
273,0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SK㈜도 여성 사외이사 선임 [특징주] SK이노베이션, ITC"개발능력 없다" 판결문 공개에 약세 힘 못쓰는 SK바이오팜, 최저가 경신하나
close
가 지난해 국내 30대 그룹 전체 투자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30대그룹 261개 계열사의 지난해 투자액을 조사한 결과 삼성, 현대차, SK 등 상위 3대 그룹이 49조4810억원을 투자해 30대 그룹의 총 투자액(76조292억원)의 65.1%를 차지했다.
또 이들 3개 그룹이 30대 그룹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56.3%에 비해 10%포인트 가량 더 높아졌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이 총 20조1063억원을 투자하며 부동의 1위를 고수했다. 삼성은 2014년 18조5151억원보다 투자액을 1조5912억원(8.6%) 늘렸다. 2위는 17조8138억원을 투자한 현대차그룹이 차지했다. 현대차는 지난해보다 10조1338억 원(132.0%) 늘어난 17조8138억 원을 투자해 증가액이 삼성그룹보다 6배 이상 많았다. 특히 삼성동 한전 부지 매입 등으로 투자 증가액이 전년 대비 2.3배에 달했다.
3위는 SK그룹으로 전년보다 1조4713억원(14.6%) 늘어난 11조5608억원을 투자했다. 투자액이 10조원을 넘는 곳도 이들 3대 그룹뿐이었다.
반면, 3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 투자액은 26조5481억원으로 전년(28조1978억 원) 대비 1조6496억 원(5.9%)이나 줄었다.
투자규모 4위에 오른
LG
LG
0035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90,800
전일대비
1,200
등락률
-1.30%
거래량
387,743
전일가
92,0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배터리 리콜처럼 SK·LG 총수 담판으로 실마리 찾나 계열 분리 앞둔 LG, 특허청에 'LX' 상표 등록…신설지주 사명되나 (주)LG·LG유플러스, 여성 사외이사 선임…LG 5개 계열사 내정
close
는 투자액이 7조581억 원으로, 3위인 SK와 4조원 이상 차이를 보였다. 특히 투자액 순위 4위에서 7위에 오른 LG와
KT
KT
0302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6,000
전일대비
300
등락률
-1.14%
거래량
1,152,304
전일가
26,3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클라우드 융합 기술인재 키운다” KT, 서울과기대와 아카데미 신설 SKT·KT, 긴급상황 위치정보 제공 '우수'…LG유플 '개선필요' [단독]KT 자회사 지니뮤직, 중국 텐센트와 음원공급 이어 VR 사업 추진
close
, 롯데,
POSCO
POSCO
00549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14,500
전일대비
5,500
등락률
+1.78%
거래량
906,590
전일가
309,0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POSCO, 커뮤니티 활발... 주가 2.68%. 美 FDA 승인입니다!! 3월 가장 기대되는 ‘이 종목’!! 수익률 고공행진!! [클릭 e종목]"경기 회복·금리 상승기, 포스코에 투자하라"
close
그룹은 모두 투자규모가 지난해에 비해 줄었다.
투자를 가장 많이 줄인 곳은 롯데그룹이었다. 롯데는 지난해 2조2466억원을 투자해 지난해(3조2098억원)보다 9632억원(30.0%) 줄였다. 이어 POSCO가 2014년 2조4877억원에서 1조9170억원으로 5707억 원(22.9%) 줄여 감소액 2위를 기록했다. LG도 7조5415억원에서 7조581억원으로 4833억원(6.4%) 줄여 3위를 차지했다. 이어 금호아시아나(41.5%),
한국조선해양
한국조선해양
0095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07,0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0.93%
거래량
416,624
전일가
108,0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한국조선해양, 세계 첫 수소선박 국제표준 개발한다 한국조선해양·한국선급, 세계 첫 수소선박 국제기준 만든다 한국조선해양, 주가 10만 9500원.. 전일대비 -0.9%
close
(22.8%)가 투자규모를 줄였다.
개별 기업별로는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2,100
전일대비
300
등락률
-0.36%
거래량
20,508,971
전일가
82,4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갤럭시 S21 첫달 판매 호조…4년만에 '대박' 기록 세울까 코스피 3000은 지켰다.. 美금리부담과 中경제성장에 출렁 코스닥, 2.72P 내린 923.48 마감(0.29%)
close
가 14조2536억원을 투자해 1위를 차지했다. 전년(12조1219억 원)대비 2조1317억원(17.6%)이나 늘렸다. 2위는 8조1332억 원을 투자한 현대자동차였다. 현대차는 2014년 3조1461억원에서 무려 4조9870억원(158.5%)이나 늘렸다. 3위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0006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40,000
전일대비
2,000
등락률
-1.41%
거래량
6,091,444
전일가
142,0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삼성전자, 작년 4분기 D램 점유율 42% 세계 1위…SK하이닉스 2위 골드만삭스의 예측.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의 비밀. 보고서 발표!! SK하이닉스, 최근 5일 외국인 260만 2478주 순매도... 주가 13만 9000원(-2.11%)
close
는 3조8586억원에서 6조5569억원으로 2조6982억원(69.9%)을 늘렸다.
이어 3조5698억원을 투자한
기아차
기아차
0002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1,100
전일대비
2,400
등락률
+3.05%
거래량
6,108,817
전일가
78,7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스피 3000 대결.. 리커창 vs. 파월 기아차, 이시간 주가 -2.67%.... 최근 5일 외국인 182만 7560주 순매도 기아차, 이시간 주가 -0.37%.... 최근 5일 개인 117만 558주 순매수
close
가 1조9761억원을 늘려 지난해 대비 124% 증가했고 삼성디스플레이(8.1%) 순으로 투자액이 많았다.
반면 투자액 감소가 컸던 기업은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0326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700
전일대비
150
등락률
-1.27%
거래량
3,101,815
전일가
11,85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SKT·KT, 긴급상황 위치정보 제공 '우수'…LG유플 '개선필요' (주)LG·LG유플러스, 여성 사외이사 선임…LG 5개 계열사 내정 “길어지는 집콕에 늘어나는 몰아보기” U+아이돌Live, 누적시청 4000만분 돌파
close
로 7706억원을 줄여 지난해보다 33.2% 감소했다. 이어
롯데쇼핑
롯데쇼핑
0235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28,0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1.16%
거래량
180,214
전일가
129,5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로나에 '명품'이 매출 효자 … 백화점, 'VIP 모시기' 전쟁 롯데쇼핑, 올 사회공헌 캠페인 전개…"모든 여성의 꿈과 도전 응원" 금리가 오르면 이마트 주가가 뛴다…인플레이션 시대 투자법
close
(44%),
SK텔레콤
SK텔레콤
0176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44,000
전일대비
2,500
등락률
-1.01%
거래량
266,394
전일가
246,500
2021.03.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SKT·KT, 긴급상황 위치정보 제공 '우수'…LG유플 '개선필요' 오큘러스 퀘스트2, SKT 공홈 2차 판매 개시 첫날 '품절' SK텔레콤, 부모님 24시간 케어 '누구 오팔 안심' 출시
close
(24%), SK인천석유화학(93.9%), 포스코에너지(72.3%) 등의 순이었다.
김원규 기자 wkk0919@asiae.co.kr
>Please activate JavaScript for write a comment in LiveR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