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북한 국방위원회가 한미합동군사연습의 중지를 촉구하며 5일 미국의 B-52 전략폭격기가 서해 직도상공에서 훈련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어 이산가족 상봉 합의이행의 재고를 시사하며 한미합동군사연습의 중지를 촉구했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지난해 3월에도 B-52는 한반도에 3차례 이상 출격해 가상의 표적을 타격하는 훈련을 진행한 바 있다. 연이어 B-2 스텔스 폭격기가 한반도에 출격한 바 있다. 당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 제1위원장이 전략미사일 부대 작전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B-2 스텔스 폭격기의 한반도 진입에 맞서 북한의 미사일 부대가 언제든지 실전 발사를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할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북한이 이렇게 민감한 이유는 폭격기의 위력 때문이다. 6·25전쟁 때도 마지막 공세를 준비 중이던 북한군을 향해 98대의 B-29 폭격기가 26분 동안 960t의 폭탄을 퍼부었다. 김일성 북한 주석도 "미군의 폭격으로 73개 도시가 지도에서 사라지고 평양에는 2채의 건물만 남았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폭격기가 무서운 것은 다양한 포탄 이외에도 폭격기 한 대에 다양한 전투기가 호위를 한다는 점이다. 이 점 때문에 '하늘의 항공모함'이라고도 불린다.
B-52는 원거리 폭격기에 해당한다. 7만5000lb의 폭탄을 탑재하고, 2만㎞를 항속할 수 있다. B-52는 미·소 냉전 시기인 1950년대 미국이 소련과의 핵 전쟁을 위해 육지(탄도탄미사일), 해상(잠수함용 순항미사일)과 함께 공중에서 '핵 보복 3원 체제(triad)'를 구축하려는 전략을 수립하면서 본격 개발됐다. AGM-129와 AGM-86 등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있는 미사일 32발을 실을 수 있다. 그 자체가 핵무기인 셈이다.
B-52와 함께 미 공군의 태평양 전진기지인 괌의 앤더슨기지에는 2009년 3월부터 B-2 스텔스 폭격기 4대가 배치돼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B-2는 지난해 미국 미주리주 화이트맨 공군기지에서 이륙, 공중급유를 받고 1만500㎞ 이상을 날아 남한 상공에 도달한 B-2는 전북 군산 앞 서해상의 직도사격장에 훈련탄 투하 훈련을 하고 복귀하기도 했다.
미 공군의 주력 폭격기인 B-52를 대체하는 B-2는 1978년 개발계획이 수립된 이후 극비리에 개발이 진행됐다. 당시 록히드마틴사와 노스럽사가 경쟁을 벌인 끝에 주계약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1988년 4월 의회의 강력한 요구로 미 공군이 상상도를 공개한 바 있다. B-2 폭격기의 당초 뒷모양은 W모양이었다. 하지만 저공비행능력을 추가하면서 모양이 변경돼 지금의 'WW' 모양이 된 것이다.
첫 시험비행이 1989년에 이뤄진 이후 1993년부터 미 공군에 인도되기 시작해 2003년 22대 전력화가 완료됐다. 2세대 스텔스기로 분류되며 꼬리날개가 없는 전익기 B-2A폭격기다. 미 공군의 태평양 지역 전진기지가 있는 괌에는 2009년 3월 처음으로 배치됐다.
폭 52.12m에 길이 20.9m로 좌우가 긴 형태로 최대속도는 마하 0.9, 무장탑재능력은 22t이며, 최대 비행고도는 5만ft(1만5000㎞)로 고고도 침투가 가능하다. 최대항속거리는 무장 1만6919㎏을 탑재할 경우 1만1680㎞를 비행할 수 있다. 중간 급유 없이 괌에서 출격해 한반도에서 임무를 수행한 뒤 복귀할 수 있는 셈이다. 특히 무장을 1만886㎏으로 낮출 경우 1만2230㎞까지 비행할 수 있다.
무장은 총중량 1만8144㎏에 달하는 핵폭탄 16발을 탑재할 수 있다. B-2A는 수많은 업그레이드를 거쳐 블록 30은 통합직격탄(JDAM), 통합장거리무기(JSOW), 통합 공대지장거리무기(JASSM)를 운용할 수 있는 다기능 중폭격기로 변모했다.
엔진은 F110에서 업그레이된 F118 애프터버너를 생략한 터보팬엔진을 사용한다. 엔진의 배기가스는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기 위해 차가운 바깥공기와 섞여 온도를 낮춘 뒤 배출된다. 적외선 탐지를 피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미공군은 B-2A폭격기를 당초 132대 도입을 요구했다. 하지만 획득비용이 치솟자 미주리주 화이트맨 기지 내 제50폭격비행단에 21대를 배치하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B-2폭격기의 첫 투입은 1999년 3월 코소보 항공전에서다. 또 B-2A는 아프간전쟁, 이라크전쟁까지 참여해 항속과 스텔스능력을 인정받았다. 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유도병기를 여러 발 탑재해 미국의 군사전략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 특히 아프간전에서는 무려 44시간 18분을 비행하는 최장시간 실전 포격기록도 세웠다.
폭격기는 현재 소수국가에서만 운영하고 있다. 최신예전투기들은 공대공 공대지 등 다양한 임무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를 줄이는 것이다. 현재는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운용하고 있으며 북한도 소수의 구형 폭격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원거리폭격기는 7만5000lb의 폭탄을 탑재하고, 2만㎞를 항속할 수 있는 B-52, 러시아는 4만lb의 적재량으로 1만2500㎞를 항속할 수 있는 TU-95 베어가 있다. 중거리폭격기에는 최대적적재량 3만7500lb, 최대항속거리 6100㎞인 미국의 FB-111 A, 최대적재량 2만lb, 최대항속거리 6400㎞인 러시아의 TU-16 바자가 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