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李 '빛의 혁명' 광화문서 유세 시작…"실패 되풀이 않고 반드시 승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李, 광화문서 출정식…尹탄핵 시위 상징적 장소
"내란 이전 뛰어넘어야…진짜 대한민국 만들자"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12일 시작된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서울 광화문을 출발점으로 유세에 돌입했다. '빛의 혁명'이라는 상징성이 있는 공간에서 대선 후보 시작을 알린 것은 정권교체 의미를 강조한 행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빛의 혁명'을 상징하는 공간인 서울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첫 유세를 시작하며 두 팔을 번쩍 들고 있다. 2025.5.12 김현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빛의 혁명'을 상징하는 공간인 서울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첫 유세를 시작하며 두 팔을 번쩍 들고 있다. 2025.5.12 김현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출정식에서 "이 나라를 이끌어 갈 사람은 이재명도, 김문수도 아니고 바로 국민 여러분"이라며 "지상과제는 무너진 민생과 민주주의, 평화를 회복하고 파괴된 경제를 되살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후보는 "우리가 꿈꾸는 나라는 내란 이전의 대한민국이 아니다"며 "이를 넘어서 신문명 시대의 세계 표준으로 거듭날 나라, 먹사니즘의 토대 위에 세계를 주도할 진짜 대한민국이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의 발언에 지지자들은 손에 든 응원봉, 파란 풍선 등을 흔들며 "이재명"을 연창했다.

이 후보는 지난 대선의 패배를 언급하며 "패배도 아팠지만, 패배 그 이후가 더욱 아팠다"며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더 지독하게 준비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뼈아픈 패배의 책임자를 다시 한번 일으켜주신 국민과 함께, 간절하고 절박한 모두의 열망을 한데 모아 반드시 승리로 보답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출정식에는 윤여준·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 정은경·김동명 총괄선대위원장 등 민주당 선대위 소속 인사들뿐만 아니라 김선민 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 한창민 사회진보당 대표 등 민주당 선대위원장을 맡기로 한 야4당 대표들도 참석했다. 이 후보는 민주당 민주연구원 산하 정책소통플랫폼 '모두의질문Q'에서 받은 시민 의견을 모은 녹서를 전달받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2일 서울 광화문 선대위 출정식에서 선거운동복을 입고 지지자들에 환호에 화답하고 있다/사진=황서율 기자chestnut@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2일 서울 광화문 선대위 출정식에서 선거운동복을 입고 지지자들에 환호에 화답하고 있다/사진=황서율 기자chestnut@

원본보기 아이콘

첫 선거 유세지를 광화문으로 정한 것은 이곳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이끈 상징적인 공간이기 때문이다. 대선의 발단이 윤 전 대통령 계엄으로부터 시작된 만큼 이번 대선 결과는 정권 교체를 통한 내란 극복·회복은 물론이고, 성장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후보 역시 발언 초입에서 "빛의 혁명을 시작한 이곳에서 첫 선거운동을 시작하는 의미를 남다르게 가슴에 새기겠다"고 했다. 선대위는 선거운동의 기본 콘셉트를 소통을 강조하는 '경청'과 분열된 대한민국을 회복하는 '국민통합'으로 잡았다.

광화문 유세 이후 이 후보는 이날 K-이니셔티브 벨트 일정으로 전국 유세에 나선다. 이는 이 후보가 대선에서 강조하는 '성장' 정책과 관련이 깊다. 경기 성남시 판교에서 혁신 산업 종사자들과 'K-혁신' 브라운백 미팅(도시락 회의)을 가진 이후 경기 화성시 동탄과 대전에서는 각각 'K-반도체', 'K-과학기술'을 주제로 유세에 나선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