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회담서 무역·에너지·방산·불법이민 다룰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취임한 뒤 글로벌 '관세 전쟁'이 확산하는 가운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미국을 찾는다.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하는 정상회담 결과에 이목이 쏠린다.
12일(현지시간) 인도 NDTV와 BBC 등 외신에 따르면 모디 총리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정상회의 참석을 마친 뒤 12∼13일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13일 열릴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집권 1기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남다른 친분을 과시했다. 다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주의를 강조하며 전 세계를 위협하는 가운데 열리는 회담이라 과거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또 교역국이 서로 비슷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 관세'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당시 인도를 겨냥해 "무역에서 매우 큰 악당"이라고 비판했던 만큼 이번 회담도 관세 협상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각종 요구와 더불어 양국 정상의 이번 만남은 '거래' 측면이 두드러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의도를 아는 인도 정부는 이미 관세 인하, 미국산 무기·가스 수입 확대 방침을 표했고, 미국 내 불법 체류자 송환 의지도 밝혔다.
이번 회담에서는 최대 쟁점으로 꼽히는 무역과 불법체류자 문제 외에 원자력 개발 협력도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모디 총리는 전날 파리 AI 정상회의에서 만난 J.D. 밴스 부통령과 원자력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깨끗하고 신뢰할 수 있는 원자력 기술을 통해 인도의 에너지 공급원 다변화를 미국이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등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모디 정부는 원전 건설을 위한 원자로 공급에 GE 히타치 원자력, 웨스팅하우스, 프랑스 전력 공사 등이 참여할 수 있도록 원자력 관련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인도 외무부는 모디 총리 방문 기간 프랑스와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협력에 관한 협정에 서명했다고 이날 밝혔다. 모디 총리의 미국 방문 기간에도 원전 관련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 모디 총리는 미국 방문 기간 트럼프 행정부의 자문기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의 만남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묵혀둔 10원이 75만원에 거래…돈 되는 희귀 동전 시장[뉴스설참]](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1217104165524_174176704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