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의주시하며 탄핵 가결 대비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 결과를 한남동 관저에서 지켜볼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7일 첫 번째 표결에서는 국민의힘이 당론으로 반대 입장을 정한 데다 투표에 불참해 결국 정족수 미달로 탄핵이 무산됐다. 하지만, 이번에는 여권 내 이탈표가 늘면서 가결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국회 상황에 촉각을 세우며 향후 대응을 고심하고 있다.
14일 대통령실은 표결을 앞두고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일부 참모진을 중심으로 탄핵 이후의 상황에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참모들은 언론과의 접촉을 자제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내부 움직임에 대해서도 함구하고 있다.
앞서 12일 진행된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이후 여론이 더욱 악화하고, 당내 혼란도 가중된 만큼 사실상 탄핵당하는 상황에 대비해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 대비해 법리 검토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탄핵당하는 상황에 대비한 전격적인 후속 조치가 이뤄질지도 관심사다.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탄핵당하면 국무위원을 비롯해 대통령실 인사 권한도 제한을 받는 만큼 사전에 일부 인사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한광옥 비서실장이 임명됐다.
이미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지난 4일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등 3실장과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들이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업무 공백과 비상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해 사의는 수용되지 않았다. 주요 참모진 인사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을 아꼈다.
탄핵안 표결을 전후해 윤 대통령이 추가로 입장을 표명할 가능성도 일각에서 거론되나 이 역시 현재 확인되지 않고 있다. 앞선 담화들도 언론에 사전 공지하지 않고 긴박하게 이뤄졌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12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은 조용한 가운데 차량과 사람들이 오가고 있고 진입로 담에는 응원 화환들이 줄지어 서 있다. 허영한 기자](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4121212505449149_1733975453.jpg)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12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은 조용한 가운데 차량과 사람들이 오가고 있고 진입로 담에는 응원 화환들이 줄지어 서 있다. 허영한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사망자 무섭게 늘어"…어떤 항생제도 소용 없는 '슈퍼 세균' 급증](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11817402594001_173718962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