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尹 조속한 직무정지 필요"
탄핵 표결 앞두고 여권 기류 요동
尹 여전히 침묵…참모들도 입닫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사실상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대통령실은 탄핵 기류가 급격히 강해지는 상황에서도 '잘못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 채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한 대표가 "당 대표로서 이번 탄핵은 준비 없는 혼란으로 인한 국민과 지지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한 것과 상반된 입장이다.
한 대표는 탄핵 반대에서 찬성으로 돌아선 배경에 대해 "어젯밤 지난 계엄령 선포 당일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 등을 반국가세력이라는 이유로 고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 사령관에게 체포하도록 지시했던 사실, 대통령이 정치인들 체포를 위해 정보기관 동원했던 사실, 신뢰할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특히 한 대표는 "여인형 방첩 사령관이 그렇게 체포한 정치인들을 과천 수감장소에 수감하려 했던 구체적인 계획이 있던 것도 파악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 탄핵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탄핵안 가결 요건은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다. 재적 의원 300명을 기준으로 200명이 찬성해야 한다. 범야권 의석이 192석인 것을 고려하면 여당에서 최소 8표의 이탈표가 나와야 가결되는데, 친한계 의원이 동조하면 가결이 유력하다.
한 대표가 탄핵 찬성 쪽으로 입장을 바꾸면서 용산 안팎의 분위기도 급격히 얼어붙었다.
여기에 검찰까지 윤 대통령 '비상계엄 사태'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하고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대검찰청은 박세현 서울고검장을 본부장으로 임명하고 "관련 사건에 대해 엄정하게 수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을 앞두고 기류가 요동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은 계엄 해제 발언 이후 현재까지 여전히 모습을 보이지 않은 채 사실상 칩거하고 있다.
대통령실 홍보수석, 대변인 등은 물론 실장·수석비서관급 참모들도 입을 닫은 상황이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이 이번 비상계엄이 합법적이었다는 내용의 대국민 담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잘못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는 한 역효과만 낼 것이란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해결책 마련에 고심 중이지만 뚜렷한 방안이 없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10% 초·중반대까지 급락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3∼5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율은 16%로 조사됐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가 반영된 4∼5일 집계 기준으로는 13%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尹 위해 몸 던지는 남편, 뒷 모습에 매일 고통"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