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돌아선 한동훈…'尹 탄핵' 급물살 속 얼어붙은 용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사실상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이는 전날 한 대표가 "당 대표로서 이번 탄핵은 준비 없는 혼란으로 인한 국민과 지지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한 것과 상반된 입장이다.

한 대표는 탄핵 반대에서 찬성으로 돌아선 배경에 대해 "어젯밤 지난 계엄령 선포 당일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 등을 반국가세력이라는 이유로 고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 사령관에게 체포하도록 지시했던 사실, 대통령이 정치인들 체포를 위해 정보기관 동원했던 사실, 신뢰할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동훈 "尹 조속한 직무정지 필요"
탄핵 표결 앞두고 여권 기류 요동
尹 여전히 침묵…참모들도 입닫아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새벽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계엄 선포 해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새벽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계엄 선포 해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사실상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대통령실은 탄핵 기류가 급격히 강해지는 상황에서도 '잘못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 채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한 대표가 "당 대표로서 이번 탄핵은 준비 없는 혼란으로 인한 국민과 지지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한 것과 상반된 입장이다.


한 대표는 탄핵 반대에서 찬성으로 돌아선 배경에 대해 "어젯밤 지난 계엄령 선포 당일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 등을 반국가세력이라는 이유로 고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 사령관에게 체포하도록 지시했던 사실, 대통령이 정치인들 체포를 위해 정보기관 동원했던 사실, 신뢰할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특히 한 대표는 "여인형 방첩 사령관이 그렇게 체포한 정치인들을 과천 수감장소에 수감하려 했던 구체적인 계획이 있던 것도 파악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 탄핵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탄핵안 가결 요건은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다. 재적 의원 300명을 기준으로 200명이 찬성해야 한다. 범야권 의석이 192석인 것을 고려하면 여당에서 최소 8표의 이탈표가 나와야 가결되는데, 친한계 의원이 동조하면 가결이 유력하다.


한 대표가 탄핵 찬성 쪽으로 입장을 바꾸면서 용산 안팎의 분위기도 급격히 얼어붙었다.


여기에 검찰까지 윤 대통령 '비상계엄 사태'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하고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대검찰청은 박세현 서울고검장을 본부장으로 임명하고 "관련 사건에 대해 엄정하게 수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을 앞두고 기류가 요동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은 계엄 해제 발언 이후 현재까지 여전히 모습을 보이지 않은 채 사실상 칩거하고 있다.


대통령실 홍보수석, 대변인 등은 물론 실장·수석비서관급 참모들도 입을 닫은 상황이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위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위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이 이번 비상계엄이 합법적이었다는 내용의 대국민 담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잘못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는 한 역효과만 낼 것이란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해결책 마련에 고심 중이지만 뚜렷한 방안이 없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10% 초·중반대까지 급락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3∼5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율은 16%로 조사됐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가 반영된 4∼5일 집계 기준으로는 13%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