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의 대출이 축소되면서 지난 3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대출 증가세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업황이 부진한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대출 증가폭이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 3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에 따르면 지난 3분기말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대출금 잔액은 1958조9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7조4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1분기 27조원을 기록했던 분기별 산업대출 증가 폭은 지난 2분기(25조원)에 이어 3분기까지 2개분기 연속 감소했다.
대출을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6.8조원 → 8.8조원)은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서비스업(13.5조원 → 7.5조원)은 증가폭이 축소됐다.
제조업(6.8조원 → 8.8조원)은 영업실적 부진 등에 따라 화학·의료용제품의 운전자금 수요를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특히 코스피 상장기업들중 화학업종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은 1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71.7% 급감하면서 운전자금 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서비스업(13.5조원 → 7.5조원)은 금융·보험업이 감소 전환하며 증가폭이 축소됐다. 서비스업 중에서 금융·보험업(2.7조원 → -2.9조원)은 감소전환했는데 여전채 발행이 원활해지면서 여전사의 대출수요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부동산업(4.4조원 → 4.9조원)은 예금은행의 증가폭은 축소됐지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 축소로 감소폭이 줄면서 전분기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다.
대출을 용도별로 보면 운전자금(7.9조원 → 3.1조원)은 제조업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건설업과 서비스업 증가규모가 줄면서 증가폭이 축소됐다.
시설자금(17.0조원 → 14.3조원)은 제조업의 경우 전기장비 업종의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화학·의료용제품 등이 줄면서 증가규모가 축소됐고 서비스업도 증가규모가 줄어 증가폭이 축소됐다.
업권별로 보면 예금은행(25.4조원 → 19.6조원) 대출금은 증가규모가 축소되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0.4조원 → -2.3조원)은 감소세가 지속됐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尹변호인단 "법치가 죽고, 법 양심이 사라졌다"…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