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집권 민진당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을 옹호하는 듯한 글을 게재했다가 삭제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연합보와 자유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전날 민진당 입법위원(국회의원)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레드에 "한국 국회가 친북세력에 의해 통제되는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3일 긴급 담화를 통해 종북 세력을 척결하고 자유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글을 올렸다.
또 자국 입법원 역시 제1, 2야당인 국민당과 민중당이 각종 국방예산을 삭감하고 위헌적으로 권력을 확장해 국가 안보 관련 제안을 저지하고 있다며 계엄 선포의 정당성을 옹호하는 듯한 의견을 피력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대만 야당에서는 여당이 계엄을 지지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확산했다. 일부 대만 네티즌도 "대만 역시 한국처럼 (계엄)해도 되는 것이 아닌가"라면서 '지지성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논란이 커지자 민진당은 원문을 급히 삭제하고 진화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대만 역시 한국처럼 계엄령 선포의 역사가 있다. 1949년 장제스 국민당 정권이 발령한 계엄령은 1987년까지 이어졌다. 당시 장제스·장징궈 총통이 집권한 대만 정부는 반공을 내걸고 '불순분자'를 뿌리 뽑는다는 명분으로 반체제 인사를 숙청한 바 있다.
이후 1986년 9월 등장한 민진당은 정당 결성 금지와 신문 창간 금지, 중국 본토로부터의 독립을 선동하는 등의 행위를 처벌하는 형법 제100조를 폐지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길었던 38년간의 계엄 역사에 막을 내렸다. 이처럼 나라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계엄령을 직접 종식한 이력이 있는 민진당에서 계엄령을 옹호하는 듯한 의견이 나와 논란을 더욱 키웠던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대만언론은 대만 외교부가 전날 한국 여행과 관련해 주의를 촉구하는 1단계(회색)에 포함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한국의 국내 정세가 여전히 변동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면서 주의를 당부했다. 2단계(황색)는 여행 안전에 특별히 유의하고 여행 여부를 검토해야 하는 단계다. 이밖에 불필요한 여행을 피해야 하는 3단계(오렌지색), 여행 금지 및 긴급 철수를 해야 하는 4단계(홍색)가 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국 큰손들과 '손절' 합니다"…작심한 업계 1위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