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실탄 지급 안 했다" 해명했지만
국회 투입 계엄군, 탄창·수갑 분실 논란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국회에 총기로 무장한 계엄군이 투입됐던 가운데 당시 계엄군이 탄창과 수갑 등을 떨어뜨리고 갔다는 보도가 전해져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일 밤에서 4일 새벽 사이 국회의원들이 국회 본회의장으로 모여들던 시간에 소총으로 무장한 계엄군이 본청에 진입을 시도했다. 이들이 무력으로 문을 통과하려고 하면서 의원·보좌진 등과 충돌이 생겼다. 계엄군은 본회의장 진입에 실패했지만 몸싸움 과정에서 몸에 지니고 있던 탄창이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후면 안내실에선 출입인 통제에 나선 계엄군과 실탄 소지 여부를 두고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JTBC는 해당 탄창에 대해 "반자동 권총에 쓰이는 탄창으로 사진상으로는 실탄까지 장전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 외에 계엄군이 작전 중 체포용으로 사용하려고 추정되는 수갑을 분실한 사실도 추가로 알려져 파장이 일고 있다.
이에 김선호 국방부 차관은 5일 국회에 출석해 특전사 707부대가 계엄군으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실탄을 지급했는지를 묻는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특전사령관을 통해 확인한 결과 실탄 지급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 병력 투입은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이 지시했다"며 "자신은 병력 동원에 부정적이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통해 "북한 공산 세력의 위협으로부터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고 우리 국민의 자유와 행복을 약탈하는 파렴치한 종북 반국가 세력들을 일거에 척결하고 자유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이에 4일 오전 1시 비상계엄 해제요구안이 본회의에 상정됐고 국회의원 190명 참석에 전원 참석으로 가결됐다. 윤 대통령은 4일 새벽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회가 요구한 계엄 해제안을 의결하며 6시간 만에 계엄을 해제했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속보]尹 "부정선거 증거 너무 많아…계엄은 범죄 아니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32014185511381_171091193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