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개최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도 가동
계엄 사태에 따른 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최대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와 총 40조원에 이르는 채권시장안정펀드와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정부는 5일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됐다가 해제된 4일 금융·외환시장이 패닉에 빠지며 장 초반 변동성이 확대됐으나 금융당국의 빠른 안정 조치 발표가 이어지면서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다만 탄핵 절차 돌입 등 정국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조기에 해소되긴 어려운 상황인 만큼 증시나 채권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최대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 등 시장 안정조치가 언제든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한편, 채권·자금시장은 총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해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한은에서도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즉시 개시해 유동성을 무제한 공급하는 한편 필요한 경우 국고채 단순매입, 외화RP 매입을 통한 외화 유동성 공급 등 다양한 시장안정조치를 신속히 추진한다.
이날 참석자들은 최근 상황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제한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정부·한은이 시장 변동성에 대해 충분한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고 해외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우리 국가 신용등급에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평가한 만큼 시장 참가자들이 과도한 불안감을 갖기보다는 냉정하고, 차분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다만, 이러한 국내 상황이 미국 신행정부 출범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과 맞물리면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관계 기관이 함께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가능한 모든 조치를 하기로 했다.
시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정부 내 경제·금융상황 점검 TF를 신설·가동해 금융·실물경제 상황 전반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시장 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신속히 단행할 계획이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산다는 사람이 없어" 얼죽신 난리였는데…서울서...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