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기자수첩]제조사 공개, 배터리 업계가 반기는 까닭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기자수첩]제조사 공개, 배터리 업계가 반기는 까닭
AD
원본보기 아이콘

"제 차 배터리, 어디 거에요? 이런 건 미리 고지를 해줘야죠!"


최근 발생한 인천 청라 아파트의 전기차 화재 사건 이후 자동차 회사에 쏟아지고 있는 소비자들의 문의다. 일상의 불안이 커지자 소비자들은 배터리의 제조사와 제원까지 속속들이 살피고 있다.

이번 화재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가만히 세워져 있던 전기차에서 시작됐다. 아파트 단지 5개동에 피해를 줬지만 다행히 사망사고는 없었다. 140여대의 차가 불탔고 800여명의 이재민이 나오기도 했다. ‘얼리 어댑터’만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전기차는 탄소 중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타고 대중화되고 있고 그 수가 60만대를 넘어섰다. 지하주차장이 많은 국내 사정상 갑작스러운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인명·재산 피해가 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기차 포비아(공포증)’가 엄습한 것이다.


그럼 전기차를 없앤다면 안전은 담보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전기차 화재 발생률은 외려 내연기관차보다 더 낮다. 지난해 소방청이 자동차 화재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기차 화재 발생 비율은 0.01%로 내연기관 차량의 0.02%의 절반 수준이다. 기후 변화에 맞서 전기차와 같은 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해야 하는 시대가 왔다. 화석연료를 직접 연소해 동력원으로 삼는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는 탄소를 줄일 수 있다. 그래서 이번 화재에 대한 우리 사회의 논의는 ‘전기차·배터리를 어떻게 하면 보다 안전하게 쓸 수 있을까’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휘발유나 LPG(액화석유가스)가 처음부터 안전하게 관리됐던 건 아니다.


현재 전기차 소비자의 불안을 낮추는 길은 ‘증명된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를 선택하는 것이다. 배터리는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담는 그릇이다. 에너지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품질이 따라와야 하는 건 당연하다. 이번 화재의 원인은 따져봐야겠지만 많은 이들이 중국 파라시스의 배터리를 발화점으로 지목하고 있다. 중국산 배터리는 수많은 업체의 경쟁 속에 가격 경쟁력은 갖췄지만 안전을 담보할 수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파라시스 배터리는 중국에서도 각종 결함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2021년 특정 환경에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패러시스의 배터리가 탑재된 베이징자동차의 EX360, EU400 등 3만 1963대가 리콜됐다. 게다가 이번에 불이 난 벤츠 EQE 전기차에 탑재된 파라시스 배터리는 국내 조사기관의 시험·평가를 거친 적이 없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도입 논의가 활발해진 것이 일명 ‘배터리 제조사 실명제’다. 배터리 실명제는 전기차 구매시 배터리 제조사와 제원 등을 공개하는 제도다. 그동안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에 어떤 배터리를 탑재하는지 공식적으로 표기하지 않았다. 전기차 원가의 30~40%를 차지하는 배터리가 무엇인지도 모른채 ‘깜깜이 구매’를 해왔던 것이다. 영업기밀이라는 이유로 제조사들이 공개를 꺼려왔기 때문이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배터리 실명제 논의를 환영한다. 배터리 품질, 안전성에서 경쟁업체 보다 앞서 있고 전기차 밸류체인 내에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도 명품, 가성비(가격 대 성능비), 저가 제품 등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한다"고 했다. "소비자에게 알권리와 선택권을 줘야 한다"는 주장은 배터리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산업IT부 정동훈 기자

산업IT부 정동훈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