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중국, '전기차 관세폭탄' EU에 수위 조절…"대화하자"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보복 조사 시사하면서도 여지 남겨
일부 EU 회원국은 '관세 폭탄' 반대하기도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8%의 '관세 폭탄'을 예고한 가운데, 중국은 EU를 비판하면서도 미국의 관세 인상 때와는 달리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선전항에서 유럽 수출 대기 중인 BYD 전기차들[사진제공=연합뉴스]

중국 선전항에서 유럽 수출 대기 중인 BYD 전기차들[사진제공=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브리핑에서 유럽의 중국 추가 관세에 대한 질문에 "EU가 각계의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목소리를 경청해 즉시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고 경제·무역 문제의 정치화를 중단하기를 촉구한다"고 답했다. 린 대변인은 "대화와 협상을 통해 마찰을 적절히 처리하고 중국과 EU의 상호 신뢰를 훼손하는 일을 피하기를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허야둥 상무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과 EU가 올바르게 공존하는 길을 견지해 대화와 협상으로 마찰을 적절히 처리하기를 촉구한다"며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권리를 갖고 있고,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 중국 기업의 합법 권익을 흔들림 없이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EU산 유제품 및 돼지고기 보복 조사'를 시사하기도 했다. 허 대변인은 "중국 산업계가 EU산 유제품에 대해 반(反)보조금 조사를, EU산 돼지고기 제품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청원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는데 사실인가"라는 질문에 "중국 국내 산업은 조사 신청을 제기해 정상적 시장 경쟁 질서와 자신의 합법 권리를 지킬 권리가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사건 접수 조건에 들어맞으면 조사기관은 조사 절차를 개시하고, 법에 따라 대외에 발표·공고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EU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면서도 앞서 미국의 관세 폭탄 때와는 온도차를 보였다.미국에 노골적인 비난을 쏟아냈던 것과 달리 EU에는 '대화와 협상'을 강조하며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지난달 14일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와 리튬전지, 반도체 등에 대해 높은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을 때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은 "중국을 미친 듯이 탄압한다"며 "미국 일부 인사가 단극 패권을 지키기 위해 이미 이성을 잃을 정도에 이르렀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런 '수위 조절'은 EU 27개 회원국 중 독일, 스웨덴, 헝가리 등 일부가 중국의 보복과 자국 업체에 대한 불이익 등을 우려해 관세 인상을 반대해왔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기업 단체나 관영매체들도 비판 기조 속에서도 EU와 상생을 강조했다.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는 "협상과 대화를 통해 분쟁과 모순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관영 영문 매체 글로벌타임즈도 "EU의 발표는 잠정 결론일 뿐"이라며 "문제 해결을 향한 중국 태도에는 진정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EU 집행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에 17.4~38.1%포인트의 잠정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려는 계획을 중국 당국과 대상 업체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상계관세율은 기존에 부과하고 있는 10%의 관세에 추가로 적용된다. 상계관세는 내달부터 부과될 예정으로 올해 하반기 EU 27개 회원국이 승인하면 향후 5년간 시행이 확정된다.





염다연 기자 allsal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