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문회사 SK ㈜의 자회사 예스파워테크닉스가 SK파워텍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첨단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예스파워테크닉스는 30일 서울 금천구 가산동 본사에서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사명을 'SK파워텍(SK powertech)'으로 변경키로 결정했다.
2017년 설립된 SK파워텍은 SiC(실리콘카바이드?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설계?제조 기업이다. SK㈜는 2021년과 2022년에 약 1500억원을 투자해 SK파워텍 경영권을 인수한 후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SK㈜는 국내 최초로 SiC 웨이퍼 생산(SK실트론)부터 SiC 전력반도체 설계?제조(SK파워텍)에 이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SK파워텍은 사명 변경으로 세계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사업 파트너와 협상력 강화,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에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파워텍은 기존 포항 공장을 부산으로 이전, 오는 4월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연산 웨이퍼 2만9000장 규모로 기존 대비 생산 규모를 3배 늘렸다. 또 신규 제품 개발 등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SiC 전력반도체는 첨단소재 분야 중에서도 기술 난이도와 진입 장벽이 높은 영역으로 꼽힌다. 고객 맞춤형 소량생산 방식으로 형성된 시장 특성상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게 최적화된 칩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력이 밑바탕돼야 하고, 고온 공정을 제어하는 생산 노하우도 필요하다.
특히 SiC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Si) 전력반도체 대비 약 10배에 달하는 높은 전압과 수백도의 고열을 견딜 수 있다. 또 전기차 배터리 효율을 약 7% 개선하는 장점으로 시장을 빠르게 점유하고 있다. 2018년 테슬라가 모델3에 SiC 전력반도체를 첫 도입한 후 현재 생산되는 전체 전기차의 약 3분의 1이 SiC 전력반도체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SiC 전력반도체 시장은 2021년 약 11억달러(약 1조4000억원)에서 2030년 약 154억달러(약 20조원) 규모로 연평균 34%의 높은 성장률(IHS Markit)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SK㈜ 관계자는 "SK파워텍은 글로벌 톱 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선제적인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SiC 전력반도체 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서울의 경보사이렌’…北 전투기 남하한 40년전 실제상황[정치 그날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60214505551892_1685685056.jp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