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수입시장 내 우리나라 제품의 점유율은 2013년 9.2%에서 지난해 10.9%로 1.7% 포인트 늘었다. 중국의 대(對)한국 수입액이 같은 기간 1794억달러에서 1743억달러로 감소했지만 점유율은 증가했다. 이 기간 중국의 전체 수입은 1조9415억달러에서 1조6016억달러로 크게 감소했다.
문병기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독일, 일본 등 주요 경쟁국의 대중국 수출이 우리보다 더 크게 감소하는 상황"이라며 "중국의 수입 수요 자체가 최근 많이 줄어드는 추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다른 나라보다 크게 뒤처지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는 중국 수입시장에서 우리나라 반도체의 점유율이 큰 폭으로 뛰었다. 2013년 18.5%(487억달러)에서 2015년 22.8%(601억달러)로 상승했다. 컴퓨터와 자동차부품의 점유율도 같은 기간 각각 9.2%(49억달러)와 14.0%(38억달러)에서 12.9%, 16.5%로 올랐다.
한편 우리나라 주요 수출 13대 품목만 따져보면 점유율은 2013년 17.0%(1472억달러)에서 18.2%(1438억달러)로 1.2% 포인트 올라 전체 품목 점유율 상승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