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지능정보사회 민관합동 간담회'에 참석해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고 있지만 조정 역할에는 어려움이 있다"며 이 같은 계획을 전했다.
기존 국가과학기술심의회와의 역할 분담에 대해선 "부처 요구에 기반한 버텀업(buttom-up) 방식의 상시 심의와 조정 역할을 하는 한편, 과학기술전략회의 결정 사항의 후속 조치를 담당해서 양 회의체의 시너지 효과도 창출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대국으로 촉발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을 보다 생산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진형 소프트웨어(SW) 정책연구소장, 김대식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를 비롯한 인공지능 및 SW 관련 기업인 등 민간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해 인공지능의 산업적ㆍ사회경제적 영향과 과제를 논의했다.
박 대통령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 분야에서 우리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되돌아 볼 수 있었고, 기계가 일자리를 빼앗아갈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또 앞으로 인간과 기계가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기도 했다"고 평가했다.
박 대통령은 계속해서 "저는 과학기술 발전의 주체가 사람이듯이 발전의 혜택도 결국 사람이 누리게 된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인공지능도 사람에 의한 기술진보의 산물이며, 과거에 수많은 발명품들이 그래왔듯이 인류에게 더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