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는 세계 최초로 양산 라인에서 청색 인광 OLED 패널 제품화 성능 검증에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OLED 패널이 빛을 내는 방식은 크게 형광과 인광으로 나뉜다. 형광은 전기가 들어오면 바로 반응해 빛을 내는 단순한 방식이지만 발광 효율은 25%에 그친다. 반면 인광은 전기를 받은 뒤 잠시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빛을 내는 방식으로 기술 난도는 높지만 발광 효율이 100%에 달한다.
빛의 삼원색(적녹청)을 모두 인광으로 구현한 OLED 패널은 '꿈의 OLED'로 불린다. 다만 청색은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많이 필요해 인광 구현에 어려움을 겪었다. LG디스플레이는 아래층에 청색 형광 물질을, 위층에는 청색 인광을 쌓는 '하이브리드 투스택 탠덤' 구조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기존 OLED 패널 수준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전력 소모량도 15%가량 절감했다.
실제 양산 라인에서 성능 평가, 광학 특성, 공정성 등을 모두 확인해야 하는 제품화 단계까지 성공한 사례는 LG디스플레이가 처음이다. 미국 유니버셜디스플레이코퍼레이션(UDC)과 함께 제품화 검증도 마쳤다.
LG디스플레이는 하이브리드 인광 블루 탠덤 기술특허를 우리나라와 미국에 모두 단독 출원했다. 이어 이 기술이 적용된 OLED 패널을 오는 11일(현지시간)부터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 'SID 2025'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 제품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IT 기기에 적용 가능한 중소형 패널이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꿈의 OLED를 위한 마지막 퍼즐이라 불리는 청색 인광 제품화 검증 성공은 차세대 OLED로 향하는 혁신적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