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시스템업체 슈프리마와 MOU
로봇 활용 신규 보안 서비스 개발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로봇을 활용해 건물 무인 보안 사업에 나선다.
현대차 · 기아 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보안시스템 전문업체 슈프리마와 로봇 친화 빌딩 구축 확대를 위해 '로보틱스 및 인공지능(AI) 기반 토탈 보안 솔루션 구축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내 보안시스템 전문업체인 슈프리마는 앞서 팩토리얼 성수에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과 로봇 친화 빌딩 검증을 수행한 바 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19일 킨텍스에서 슈프리마와 '로보틱스 및 AI 기반 토탈 보안 솔루션 구축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오른쪽)와 김한철 슈프리마 대표가 협약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제공=현대차)
현대차·기아는 로보틱스 사업 모델을 창출해 로봇 친화 빌딩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로봇 친화 빌딩은 로봇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 내 인프라 관리 기술을 고도화하고 이를 로봇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기아는 '로보틱스 토탈 솔루션'을 고도화, 사무실이나 종합병원, 호텔 등 로봇을 필요로 하는 고객에게 검증된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AI와 로보틱스를 융합한 보안 솔루션 개발과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한 신규 보안 서비스 개발 등을 추진한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달이 딜리버리'와 같은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해 물리보안 기술을 연구하고 검증한다. 기존 물리보안 인프라 시스템에 자율주행이 가능한 로봇을 연동, 보안 사각지대를 없애고 보안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는 "로봇과 사람이 건물 내 인프라의 제약을 극복하고 편리한 이동과 새로운 공간 서비스를 창출하는 새로운 업계 표준을 만들 것"이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특히 AI 기술이 결합한 로보틱스 토탈 서비스가 기존 정적 물리보안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철 슈프리마 대표는 "로보틱스를 결합한 무인 보안 서비스의 새로운 시대를 열게 돼 의미가 깊다"며 "클라우드, 로봇, AI, 다양한 센서, 현장 대응 솔루션 등을 통합한 AI 기반 로봇 친화 빌딩의 보안 시스템으로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