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 "국민 탄핵 요구 커지면 여당도 결국 동참할 것"
미국 언론은 7일(현지시간) 계엄 사태와 관련한 한국 국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표결이 여당 의원들의 불참으로 무산된 뒤 한국의 정치적 혼란이 길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여당 대다수 의원들의 탄핵안 표결 불참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됐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 대통령이 계엄령 실책 이후 탄핵을 피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표결 불발은 추가적인 정치적 혼란과 대통령 사임에 대한 대중의 요구 확대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신문은 "(여당) 의원들은 윤 대통령의 행동 보다 진보적 리더십으로의 복귀를 더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며 "윤 대통령 탄핵안은 소속 정당의 보이콧으로 부결됐지만 야당은 단명한 계엄령 선포에 대한 처벌을 다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대통령 탄핵 시도가 무산된 것은 한국을 뒤흔든 정치적 혼란을 연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적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윤 대통령 탄핵 시도가 실패로 끝나면서 이번 주 짧은 계엄령 발효 이후 한국을 뒤흔든 정치적 격변과 불확실성이 길어지게 됐다"고 전했다.
매체는 "윤 대통령은 탄핵 시도에서 살아남았지만 어떤 중요한 정부 업무를 수행하거나 국가를 대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시위대는 압박을 지속하겠다고 다짐했다"고 썼다. 이어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심각한 불안 속에 리더십을 둘러싼 장기전에 직면했다"며 "핵무기 능력을 키우는 북한은 대남 위협을 심화시키고 있고, 가장 중요한 군사 동맹인 미국 행정부 교체로 양국 간 협력은 복잡해질 수 있다"고 짚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정치평론가 서복경 씨의 발언을 인용해 "대중이 윤 대통령과 당 사이의 어떤 막후 거래도 받아들일 것 같지 않다"고 소개하며, 이번 탄핵안 무산으로 한국의 정치적 혼란이 고조될 것으로 내다봤다.
탄핵 반대 당론에 따라 안철수·김예지·김상욱 3명을 제외한 모든 의원이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나왔다.
WSJ는 시카고 글로벌어페어즈카운슬 소속 한국 전문가 칼 프리드호프 연구원의 발언을 인용해 "국민의힘이 국가보다 정당을 중시하는 길을 택한 건 최악의 결과"라고 전했다.
AP통신은 "많은 전문가가 윤 대통령이 남은 2년 반의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한다"며 "그들은 국민의 탄핵 요구가 더 커지면 일부 국민의힘 의원들이 결국 야당의 윤 대통령 탄핵 노력에 동참할 수 있다고 말한다"고 보도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尹, 체포 직전 "2년 반 더 해서 뭐하겠나" 與의원...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