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광주시, 내년 노인 일자리 3만6,348명 창출한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551억 투입…공익활동·역량활용 등 추진
노인일자리창출위, 내년도 계획 심의 조정

광주시는 5일 시청 세미나실에서 노인일자리창출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노인 일자리 사업 추진 성과를 분석하고, 내년도 사업계획을 심의·조정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는 5일 시청 세미나실에서 노인일자리창출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노인 일자리 사업 추진 성과를 분석하고, 내년도 사업계획을 심의·조정했다. 광주시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광주시는 5일 시청 세미나 1실에서 노인일자리창출위원회를 열고 ‘2024년 노인 일자리 사업 추진성과 및 2025년 사업계획’을 심의·조정했다.


노인일자리창출위원회는 조례에서 정한 ▲노인 일자리 사업 추진계획 수립 ▲노인 일자리 직종 개발 및 노인 우선적 고용 권장 ▲노인 일자리 창출 지원 ▲노인 일자리 창출 기업체 등과 협약 체결 등을 심의·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내년 광주시 노인 일자리 사업은 ‘든든한 노후, 보람 있는 광주’를 비전으로 다양한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지역 노인인구(34만9,455명)의 10% 수준인 3만6,348명의 노인 일자리 창출을 성과지표로 삼았다. 이는 올해 3만2,370명보다 3,978명(12.3%) 늘어난 것이다.


어르신들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인 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으로 초고령사회 및 지속적인 노인인구 증가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내년 노인 일자리 사업에 1,551억원을 투입, 노인공익활동사업, 노인역량활용사업, 공동체사업단, 취업지원(취업알선형) 등을 추진한다. 참여기회 확대를 위해 국가유공자 가점이 신설되고 가족인 요양보호사 참여가 허용되는 등 자격 기준을 확대했다. 또 아이돌봄사업, 하교 안전관리 지원 등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 일자리를 확충할 방침이다.

여기에 ▲광주다움 통합돌봄 모니터링단 ▲고독사 예방 안부톡톡 서비스 ▲사회적약자 병원동행 서비스 등 신노년세대 역량을 활용한 일자리를 추진, 시행 3년을 맞는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빈틈없는 서비스에 힘을 보탠다.


시는 지난달 13일 노인 일자리 사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의체 회의를 열어 2025년 사업추진 방향 등을 논의한 데 이어 14일 광주시니어클럽협회 주관 2024년 노인 일자리 사업 성과평가회를 개최해 우수사례 공유 및 유공자 표창 등을 진행했다.


김영화 고령사회정책과장은 “초고령사회와 지속적인 노인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경험·역량 높은 신노년세대 수요에 맞춘 다양한 일자리 제공으로 소득 보전과 활기찬 노후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