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가상자산 훈풍에 ‘페이코인’ 국내 컴백 관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가상자산 훈풍에 ‘페이코인’ 국내 컴백 관심
AD
원본보기 아이콘

해외에 이어 국내 가상자산 시장도 훈풍 조짐을 보이면서 페이코인을 비롯한 토종 서비스 재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여야는 가상자산 과세 유예에 대해 합의하고 2년 간 추가 제도 정비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산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로, 이에 대해 블록체인 기업 해시드의 김서준 대표는 그간 지연됐던 가상자산 및 웹3 산업 제도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하기도 했다.

이 같은 흐름은 해외시장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친 가상자산' 정책을 예고했고, 인사 기용 등 규제 완화 준비에 나서고 있다. 특히 미국을 가상자산 수도로 만들고 산업 및 기업을 육성할 계획이어서 각국 간 우량기업 유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한국의 경우 금융당국의 정책 자문기구인 가상자산위원회에서 법인 실명 계좌 발급 여부를 논의 중인 상태다. 이후 가상자산법 추진방향, 스테이블코인 규율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져 국내를 중심으로 산업 부흥이 재현될지 여부에 촉각이 기울여지고 있다.


한때 시장 내 혁신을 불러일으킨 토종 알트코인들의 복귀 여부도 관심사 가운데 하나다. 클레이튼, 페이코인, 위믹스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 서비스는 현재 해외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전개 중이다. 특히 트럼프 소유 미디어기업이 가상자산 결제 플랫폼 상표 출원에 나서는 등 최근 이 분야에 대한 시장 관심이 커진 상태다.

페이코인의 한 관계자는 "미국 결제 상용화 성공 후 현재 유럽 진출을 위해 준비 중"이라며 "국내 서비스의 경우 정부 정책 기조에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외 시장변화에 예의주시하고 있고, 기존에 국내 가맹점 네트워크와 320만 가입자 등 관련 인프라도 유지 중인 상태라고 전했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