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기자수첩]'K-조선' 잇속 챙기려다 또 공멸할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초격차 기술과 뛰어난 생산성을 바탕으로 세계 조선 시장에서 한국 조선업은 장기적 호황으로 나아갈 절호의 기회를 마주했다.

이럴 때일수록 서로 욕심이 지나쳐 화를 부르는 일을 경계해야 한다.

한화오션이 최근 HD현대중공업을 상대로 제기했던 고발을 취하하면서 한국형 차기 구축함 사업 수주를 앞두고 1년 가까이 이어지던 양 사의 갈등을 봉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점은 긍정적이라 볼 수 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조선 업계에 최근 반가운 소식이 이어진다. 13년 만에 국내 대형 조선 3사가 동반 흑자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호황이 이어지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중심으로 연내 수주액은 400억달러, 한화 56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우리 조선 업계를 향해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내면서 ‘K-조선’ 재도약의 기대감을 한껏 키우고 있다. 오랜 시간 적자를 견디고 부침의 시기를 묵묵히 버텨온 조선 업계의 저력이 다시금 빛을 발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 멈출 기세도 아니다. 주인공은 상선에 이어 특수선이다. 중국에 뒤처진 해군력을 확대하고 싶어하는 미국의 요구에 따라 군함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진출에 이어 군함 건조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폴란드나 모로코, 캐나다 등 잠수함 사업 수주 가능성도 예견된다. 초격차 기술과 뛰어난 생산성을 바탕으로 세계 조선 시장에서 한국 조선업은 장기적 호황으로 나아갈 절호의 기회를 마주했다.


이럴 때일수록 서로 욕심이 지나쳐 화를 부르는 일을 경계해야 한다. 한화오션 이 최근 HD현대중공업 을 상대로 제기했던 고발을 취하하면서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 수주를 앞두고 1년 가까이 이어지던 양 사의 갈등을 봉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점은 긍정적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화해 모드 대신 자칫 공멸을 불러올 갈등이 이어지고 있어 안타깝다. HD현대중공업이 한화오션의 방산 업체 지정 신청 철회를 요구하거나, KDDX 사업의 수의계약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한화오션에 경쟁 자체를 포기하라는 것으로, 출발선에도 서지 못하게 하려는 압박인 셈인데 남 눈의 티끌은 보여도 제 눈에 들보는 보지 못하는 처사다.

군사기밀 유출 사건으로 직원들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사실은 HD현대중공업이 분명하게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그로 인해 보안 감점을 받는 만큼 이를 만회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고발 취소로 해당 수사는 종결되겠지만 비위 사실에서 면죄부를 받은 것도 아니란 점은 분명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르면 다음 달 KDDX 방산 업체 지정을 추진한다. 지난 7월에 예정됐었던 KDDX 상세설계와 선도함 건조 사업자 선정 작업이 늦었지만 이제라도 재개됐다는 점은 무척 반갑다. 정부는 ‘관례’를 들어 수의계약을 고집하기보다는 공동 개발·건조 등 우리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중국이 정부의 지원 아래서 한국 조선업을 빠르게 추격해오고 있다. 기술 격차는 고작 2, 3년 남짓에 불과하다. 국내 업체들끼리 반목과 갈등에 집착할수록 대외 경쟁력은 뒤처질 수밖에 없다. 한국 조선업을 주목하는 미국 등 다른 나라와 협력을 모색하는 입장에서도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


불과 10여년 전 해양플랜트 시장에 진출하면서 실적을 내겠다는 욕심에 조선 3사가 펼친 저가 수주 경쟁으로 막대한 손실을 보았고, 회복하기까지 어떻게 버텨야 했는지 그 쓰라린 기억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기자수첩]'K-조선' 잇속 챙기려다 또 공멸할라
AD
원본보기 아이콘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