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관세 현실화 하면 유로존 GDP 1.3%↓"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해 20% 보편관세를 매길 경우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국내총생산(GDP)이 4년 뒤 1.3%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관세는 국가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수입 가격을 인상시키고 국제 무역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경제 성장 저해 요인으로 꼽힌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경제지 한델스블라트 등에 따르면 독일경제연구소(IW)는 24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 정부가 내년부터 20% 보편관세를 매기고 유럽연합(EU)도 같은 관세율로 대응할 경우, 2028년 유로존 GDP가 1.3%, 독일은 1.5%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집권하면 중국산에 60%, 나머지 국가 수입품은 10~20%의 보편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약했다.

독일은 4년 뒤 1800억유로(약 268조원)의 GDP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과 EU가 서로 10% 관세를 부과할 경우 독일의 예상 GDP 손실 규모는 1270억유로(약 189조원)로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10% 양방향 보편관세를 가정하면 내년 글로벌 GDP가 0.8%, 2026년 1.3%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독일 ifo 경제연구소는 보편관세 공약이 현실화할 경우 독일의 미국 상대 수출이 최대 15%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