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탄소 중립’과 ‘수소’ 두 마리 토끼 잡는 배터리 나왔다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UNIST 김건태 교수팀, 분리막 없어 더 간단한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 개발
물에 녹은 이산화탄소로 수소·전기 생산하는 독자 기술 진화 … Nano Energy 게재

유니스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의 충방전 에너지 사이클 모식도.

유니스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의 충방전 에너지 사이클 모식도.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없애는 동시에 ‘수소’와 ‘전기’를 더 쉽고 빠르게 생산하는 새로운 배터리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부 김건태 교수팀은 시스템을 분리하는 분리막인 멤브레인이 필요 없는 ‘멤브레인 프리(Membrane-free)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기존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과 달리 전극 분리막이 없어 제조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전해질만으로 지속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김 교수팀은 앞선 연구에서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은 이산화탄소가 녹아 산성화된 물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수소와 전기로 바꾸는 시스템이다.


이번에 개발된 ‘멤브레인 프리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Membrane-free Mg-CO2 Battery)’는 음극(마그네슘 금속), 수계전해질, 양극(촉매)만을 필요로 한다.

수소 발생 효율(패러데이 효율)이 92%로 높을 뿐만 아니라 충전 반응에서 생성되는 산소와 염소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동시에 유용한 자원을 생산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및 저장기술(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이 주목받고 있다.

다양한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시스템 모식도.

다양한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시스템 모식도.

원본보기 아이콘


이산화탄소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금속-이산화탄소 전지’(Metal-CO2 Battery) 기술도 그중 하나다. 하지만 금속-이산화탄소 전지는 반응이 지속되면 전극에 쌓이는 고체생성물 때문에 전지용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김정원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제1저자)은 “수계-금속 이산화탄소 시스템은 ‘금속-이산화탄소 전지’와 달리 반응 생성물이 기체와 이온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구동 가능한 효율적인 CCUS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멤프레인 프리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는 음극인 마그네슘 금속과 수계 전해질, 양극(촉매)만 필요하다는 점에서 수소차 연료전지와 유사한 구조다.


하지만 연료전지와 달리 촉매가 물속(수계 전해질)에 담겨져 있으며 음극과 도선으로 연결돼 있다. 물에 이산화탄소를 불어넣으면 전체 반응이 시작돼 이산화탄소는 사라지고, 전기와 수소가 만들어진다.


전동협 동국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 교수는 “시뮬레이션 결과 멤브레인 프리(Membrane-free)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의 성능 저하 원인을 정밀하게 찾아낼 수 있었다”며 “문제점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지금보다 향상된 이산화탄소 활용 배터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니스트 김건태 교수(왼쪽부터), 김정원 연구원, 주상욱 연구원.

유니스트 김건태 교수(왼쪽부터), 김정원 연구원, 주상욱 연구원.

원본보기 아이콘


김건태 교수는 “제조 과정은 단순화하면서도 이산화탄소 활용도를 더 높인 ‘멤브레인 프리’ 기술로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히 새로운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개발에 그치지 않고 더 많은 파생 연구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동국대 전동협 교수와 뉴 사우스 웨일즈 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의 리밍 다이(Liming Dai) 교수가 함께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에너지 (Nano Energy)’에 1월 4일 자로 온라인 공개돼 출판을 앞두고 있다. 연구 수행은 한국동서발전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NRF) 등 지원으로 이뤄졌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하이브 막내딸’ 아일릿, K팝 최초 데뷔곡 빌보드 핫 100 진입 국회에 늘어선 '돌아와요 한동훈' 화환 …홍준표 "특검 준비나 해라" 의사출신 당선인 이주영·한지아…"증원 초점 안돼" VS "정원 확대는 필요"

    #국내이슈

  • '세상에 없는' 미모 뽑는다…세계 최초로 열리는 AI 미인대회 수리비 불만에 아이폰 박살 낸 남성 배우…"애플 움직인 당신이 영웅" 전기톱 든 '괴짜 대통령'…SNS로 여자친구와 이별 발표

    #해외이슈

  • [포토] 세종대왕동상 봄맞이 세척 [이미지 다이어리] 짧아진 봄, 꽃놀이 대신 물놀이 [포토] 만개한 여의도 윤중로 벚꽃

    #포토PICK

  • 게걸음 주행하고 제자리 도는 車, 국내 첫선 부르마 몰던 차, 전기모델 국내 들어온다…르노 신차라인 살펴보니 [포토] 3세대 신형 파나메라 국내 공식 출시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전환점에 선 중동의 '그림자 전쟁'   [뉴스속 용어]조국혁신당 '사회권' 공약 [뉴스속 용어]AI 주도권 꿰찼다, ‘팹4’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