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소방권력 절대적…표적수사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24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그룹 정책본부, 서린동 SK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사무실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면세점 사업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중국 정부가 현지에 진출한 롯데그룹에 대한 전방위 조사에 나섰다. 롯데그룹이 최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부지를 제공한 것과 관련, 보복을 위한 표적수사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1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달 28일부터 중국 현지에 진출한 롯데 계열사의 전 사업장에 대해 세무조사와 소방·위생점검, 안전점검에 일제히 나섰다.
정부 관계자는 "한국의 소방점검은 정례적인 것이지만 중국에서는 다르다"면서 "안전문제 뿐 아니라 소비재 사업장에 대한 정부 압박의 첫 단계로도 인식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국 현지의 소방권력이 한국과 비교할 수 없이 방대한 만큼 표적수사로 볼 여지가 많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선 지난달 16일 국방부는 사드배치 부지 협상을 타결했다. 양측은 국유재산법에 따라 롯데스카이힐 성주CC와 유휴 예정 군용지인 남양주 부지를 교환키로 했다. 현재 양측은 교환 대상 부지에 대해 감정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