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울릉도·독도 '온실가스 추적대' 뜬다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국내 기후변화 감시체계가 완성된다. 우리나라 서쪽과 남쪽에 이어 지금껏 비어있던 동쪽에서도 기후변화를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종결자'역할을 수행할 지역은 바로 울릉도와 독도다.

울릉도 기상관측의 역사는 193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8년 조선총독부기상대 아래 설립된 '울릉도 측후소'는 그 해 8월 일조관측을 시작했다. 지금은 강릉지방기상대에 속해 있는 울릉도 기상대가 울릉도와 독도의 동네 예보를 생산하고 있다. 기상 예보뿐만이 아니다. 앞으로 울릉도와 독도는 기후변화 감시망의 일부로 발돋움한다. 기상청은 2013년 완공을 목표로 울릉도와 독도에 기후변화감시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기후변화감시소 착공을 준비중인 울릉도 기상대를 지난 7일 직접 찾았다.
독도에 설치된 온실가스 무인관측시스템. 15m 높이에서 공기를 흡입해 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를 분석한다.

독도에 설치된 온실가스 무인관측시스템. 15m 높이에서 공기를 흡입해 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를 분석한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울릉도까지 가는 길은 쉽지 않다. 서울에서 3시간 30분을 달려 동해 묵호항에 도착한 뒤 또 그만큼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야 한다. 울릉도는 평지가 거의 없고 섬 자체가 커다란 산이다. 같은 화산섬이지만 제주도와 달리 산세가 훨씬 거칠다. 도착하자마자 눈에 들어오는 것은 깎아지른 절벽이다. 울릉읍 도동리에 위치한 울릉도 기상대까지 가는 길도 줄곧 어지럽게 꺾이는 오르막길이다. 43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는 울릉도 기상대 부지 안에 연구동과 연구지원동 2개 건물로 지어진다.
"기상청에서도 예보 이외의 가장 큰 업무는 기후변화 감시다." 이날 함께 울릉도 기상대를 찾은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센터 임병숙 센터장의 말이다. 기후변화 감시는 대기의 화학적 조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후변화 원인물질을 관측, 분석하는 일을 가리킨다. 단순히 기온이 올라갔다거나 강수량이 변화했다는 것만으로 기후변화를 단언할 수는 없다. 대기를 관측해 대기입자의 물리·화학적 구성 성분이 바뀌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기후변화의 개념이 처음 대두된 것은 1980년대다. 1989년부터는 세계기상기구의 지구대기감시(GAW, Global Atmosphere Watch)프로그램이 시작된다. GAW프로그램은 전세계에 약 400개의 관측소를 두고 기후변화 데이터를 축적해나가고 있다. 지역 대기를 관찰하는 '지역급 관측소'가 410개, 인간의 영향을 덜 받는 곳에서 지구 전체의 대기를 관측하는 '지구급 관측소'가 28개다. 우리나라에서도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센터가 지역급 관측소로 지정돼 있다.

올해 4월 착공에 들어가 2013년에 완공될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설립은 국내 기후변화 감시체계의 '완성'이라는 의미가 있다.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설립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왔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2곳의 기후변화감시소가 있다. 가장 먼저 생긴 곳은 1996년 소백산 기상관측소가 이전하며 만들어진 안면도 기후감시센터다. 안면도 기후감시센터에서는 국내 기후변화감시 시스템을 총괄하고 있다. 2008년에는 제주도 고산에도 기후변화감시소가 생겼다. 문제는 나라의 동쪽을 담당하는 관시소가 없었다는 점이다. 서쪽은 안면도, 남쪽은 제주도가 담당했지만 동쪽은 계속 비어 있었다. 임 센터장은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가 설립되면 한반도에 들고 나는 공기를 완전히 감시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안의 기후변화 원인물질을 전반적으로 감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반도 동쪽으로 빠져나가던 공기의 유출입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기상청은 10일 울릉도 기상대에서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착공식을 열었다. 총 43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는 내년 완공된다.

기상청은 10일 울릉도 기상대에서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착공식을 열었다. 총 43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는 내년 완공된다.

원본보기 아이콘

유출입 정보는 국가간 온실가스의 이동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서쪽의 중국에서 넘어 온 공기가 동쪽으로 빠져나갈 때 온실가스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 정량적으로 파악이 가능해진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뿐만이 아니라 흡수량도 알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는 온실가스를 둘러싸고 협력과 규제가 강조되는 최근 국제사회 분위기 속에서 국가기후변화대응 전략을 수립할 과학적 근거가 된다. 신임철 기후변화감시센터 연구관은 "(흡수량 정보는)국가간 온실가스 협상 테이블에서 우리나라가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카드"라며 "배출량과 함께 우리나라가 온실가스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도 얘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은 시급한 문제다.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안면도 센터에서의 관측 결과 1999년에는 370.7ppm이던 이산화탄소 농도가 2011년에는 395.1ppm으로 올랐다. 전지구 평균인 390.5ppm보다 높다. 게다가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지난 1000년간 최대 15ppm사이에서 증감을 반복해왔는데, 우리나라에서 불과 10년 사이 25ppm이 늘어났다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라는 설명이다.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효과가 약 2만 3900배나 더 큰 '최악의 온실가스' 육불화황(SF6)가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인 반도체와 자동차 등의 생산가스에서 주로 배출된다는 것도 향후 국제협상 테이블에서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육불화황 증가율은 2008년부터 전지구 평균(6.5ppt)를 넘어섰다. 2011년에 기상청이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한 것 역시 국제 신뢰도 형성을 위한 자료를 선점하기 위해서다.
한편 울릉도와 독도는 이미 감시업무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해부터 울릉도 기상대에 설비를 들여 놓고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 주요 온실가스 3종과 에어로졸, 자외선(UVA, UVB)를 관측중이다. 11월부터는 독도에 무인관측시스템을 설치했다. 공동분광감쇠기(CRDS)를 이용해 15미터 높이에서 공기를 흡입, 대기 시료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 울릉도ㆍ독도 기후변화감시소가 완공되면 에어로졸과 기타 온실가스까지 감시업무의 영역을 더 넓힐 수 있다. '중앙센터' 격인 안면도 기후변화센터에서는 현재 6개 분야에서 37종의 기후변화요소를 관측하고 있다. 안 센터장은 "측정한 자료가 안정화하기까지는 약 1~2년이 걸린다"며 "향후 울릉도와 독도에서 관측한 자료도 세계기상기구 GAW프로그램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수진 기자 sjkim@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하이브 막내딸’ 아일릿, K팝 최초 데뷔곡 빌보드 핫 100 진입 국회에 늘어선 '돌아와요 한동훈' 화환 …홍준표 "특검 준비나 해라" 의사출신 당선인 이주영·한지아…"증원 초점 안돼" VS "정원 확대는 필요"

    #국내이슈

  • '세상에 없는' 미모 뽑는다…세계 최초로 열리는 AI 미인대회 수리비 불만에 아이폰 박살 낸 남성 배우…"애플 움직인 당신이 영웅" 전기톱 든 '괴짜 대통령'…SNS로 여자친구와 이별 발표

    #해외이슈

  • [포토] 세종대왕동상 봄맞이 세척 [이미지 다이어리] 짧아진 봄, 꽃놀이 대신 물놀이 [포토] 만개한 여의도 윤중로 벚꽃

    #포토PICK

  • 게걸음 주행하고 제자리 도는 車, 국내 첫선 부르마 몰던 차, 전기모델 국내 들어온다…르노 신차라인 살펴보니 [포토] 3세대 신형 파나메라 국내 공식 출시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전환점에 선 중동의 '그림자 전쟁'   [뉴스속 용어]조국혁신당 '사회권' 공약 [뉴스속 용어]AI 주도권 꿰찼다, ‘팹4’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