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전
2025.06.11
다음
1
"에어컨은 필수인데, 우리 5만원에 쓸까"…가벼운 주머니, 혼수의 대안[주머니톡]

"에어컨은 필수인데, 우리 5만원에 쓸까"…가벼운 주머니, 혼수의 대안

편집자주삼겹살 1인분에 2만원, 자장면 한 그릇에 7500원인 시대다. 2024년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8(2020년=100)로, 2025년 역시 고물가 여파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커졌다. 주머니톡(Week+Money+Talk) 연재를 통해 시시각각 변하는 물가와 함께 우리 주머니 사정과 맞닿은 소비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 다음 달 결혼을 앞둔 예비 신부 김은경씨(31)는 에어컨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본가에 있는 에어

2
"한국 정말 만만찮네"…야심 차게 상륙했다가 '쓴맛' 본 글로벌 커피 브랜드들

"한국 정말 만만찮네"…야심 차게 상륙했다가 '쓴맛' 본 글로벌 커피 브랜드들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커피 브랜드들이 한국에서는 잇따라 고전하고 있다. 북미와 일본 등지에서 두터운 팬층을 자랑하던 커피 브랜드들이 한국 시장에서는 사업을 축소하거나 심지어 철수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주목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커피 브랜드 '팀홀튼(TH Tim Hortons)'을 운영하는 비케이알(BKR)은 최근 인천 청라지점의 영업을 종료했다. 지난해 4월 문을 연 이 매장은 1년 만에 폐점 결정을 내리

3
"제발 그만 시켜" 알바생 곡소리…'10만원 호텔표 저리가라' 4000원 MZ빙수 열풍

"제발 그만 시켜" 알바생 곡소리…'10만원 호텔표 저리가라' 4000원 MZ빙수 열풍

국내 커피 프랜차이즈들이 '가성비'를 앞세운 1인 컵빙수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장기화된 고물가로 소비자들이 씀씀이를 줄이고 있는 가운데, 큰 크기의 제품이 아닌 '미니' 사이즈 제품 라인업을 확대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특급호텔들이 '스몰 럭셔리' 트렌드를 겨냥해 프리미엄 제품을 내놓는 것과 반대의 전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메가MGC커피의 '팥빙 젤라또 파르페'와 '망빙 파르페'는 지난 4월 말 출시된

4
"요즘 커피 누가 마셔요?"…건강 챙기는 MZ들이 푹 빠진 '녹색 열풍'

"요즘 커피 누가 마셔요?"…건강 챙기는 MZ들이 푹 빠진 '녹색 열풍'

커피처럼 강렬하지 않고 초콜릿만큼 자극적이지 않은 말차(末茶)가 쌉쌀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을 앞세워 식품업계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말차가 건강은 물론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의 이미지를 확보하면서 업계의 신제품 출시도 잇따르고 있다. 7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최근 말차 메뉴로 유명한 카페 '청수당'과 손잡고 말차맛 '빼빼로'와 '빈츠', '아몬드볼'을 선보였다. 롯데웰푸드가 선보인 말차 협업 제품

5
"바가지는 손절…그냥 일본 갈게요" 하더니 제주로 발길 돌린 관광객

"바가지는 손절…그냥 일본 갈게요" 하더니 제주로 발길 돌린 관광객

각종 논란 속에 내국인 관광객 감소세를 보이며 위기감이 감돌았던 제주도에 다시금 활력이 도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황금연휴 기간 대형항공사(FSC)의 김포-제주노선 항공권은 매진됐고, 저비용항공사(LCC) 노선도 일부 좌석을 제외하고 모두 판매됐다. 코로나19로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한데다 잇따른 논란에 내국인 관광객에게 외면받아왔지만, 지난 5월 연휴에 이어 6월 연휴에도 활기를 띠는

6
한국 챗GPT 성장세 꺾이나…5월 이용자수 50여만명 줄어

한국 챗GPT 성장세 꺾이나…5월 이용자수 50여만명 줄어

국내에서 돌풍을 일으켰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의 성장세에 제동이 걸렸다. 월간 활성 이용자 수 1000만명 고지를 넘어선 지 불과 한 달 만에 이용자가 급감하면서 성장세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5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챗GPT의 5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017만1126명을 기록했다. 이는 4월(1072만227명) 대비 54만8901명 줄어든 수치다. 챗GPT 국내 이용자가 줄어든 건 작년 2월 이후

7
"결제하자 돌변했다"…'진료비 할인' 혹해서 계약했다가 낭패 본 소비자들

"결제하자 돌변했다"…'진료비 할인' 혹해서 계약했다가 낭패 본 소비자들

소비자가 의료기관과 장기간 여러 회차의 진료 계약을 체결한 뒤 해지를 요구할 때 선납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이행된 진료비·위약금 공제 등을 이유로 적은 금액만 돌려받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1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최근 3년간 의료서비스 선납진료비 관련 피해구제 접수 건수는 모두 1198건으로 2022년 192건, 2023년 424건, 2024년 453건(1분기 116건), 2025년 1분기 129건 등

8
4.5일 일하는 시대 올까…주5일제는 입법 5년, 정착 7년

4.5일 일하는 시대 올까…주5일제는 입법 5년, 정착 7년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약속한 주4.5일제 등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과거 주5일 근무제(주40시간 근무제)를 추진했던 과정이 재조명되고 있다. 논의 후 입법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던 주5일 근무제는 시행 이후 완전히 정착하는 데 7년이 걸렸다. 1998년 논의 시작 후 경영계 반대로 여러 차례 교착상태주5일제는 한 해에만 신규 실업자가 92만명에 달했던 1998년 김대중 정부에서 논의가 시작됐다. 미국은 19

9
"거의 갑옷 수준이잖아?"…우크라 병사 살린 삼성 스마트폰

"거의 갑옷 수준이잖아?"…우크라 병사 살린 삼성 스마트폰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군 한 병사가 삼성전자의 갤럭시 S25 울트라 스마트폰 덕분에 생명을 구했다고 밝혔다.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IT 전문 매체 메가는 자신을 우크라이나군이라고 밝힌 한 이용자가 지난달 중순께 삼성전자 우크라이나 홈페이지 제품 고객 리뷰란에 갤럭시 S25 울트라 스마트폰이 갑옷 역할을 해줬다는 이야기를 적었다고 보도했다. 이 군인은 "포격을 당하던 도중에 큰 파편이 휴대전화를 직격했

10
"실패 두렵다"는 서울대 학생…김재철 동원 회장의 '도전론'

"실패 두렵다"는 서울대 학생…김재철 동원 회장의 '도전론'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도전이 어렵다." 4일 저녁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열린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의 강연에서 한 서울대 학생은 이 같은 고민을 털어놨다. 김 명예회장의 조언은 간결했다. 그는 "존경하는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길이 보인다"며 "그 시작은 경청하는 자세"라고 말했다. 김 명예회장은 이날 자신이 최근 펴낸 자서전 '인생의 파도를 넘는 법' 출판 강연에서 150여 명의 학생과 교직원을 만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