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간 교류·AI 협업 의견 나눠
'AI 중심 사업지주회사'로 전환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이 리시 수낙 영국 전 총리를 만나 인공지능(AI) 등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 사장은 2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수낙 전 총리를 만나 글로벌 트렌드를 공유하고 국가 및 기업 간 AI 등 기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SK네트웍스가 21일 밝혔다.
SK네트웍스는 2020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하이코캐피탈(현 SK네트웍스 아메리카)'를 설립, 미래성장 인적 네트워크 '하이코시스템'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술기업 협력 및 투자를 이어왔다. 글로벌 콘퍼런스 참석을 위해 방한한 수낙 전 총리와 만남을 가진 것도 이 같은 네트워크가 바탕이 됐다는 설명이다.
두 사람은 글로벌 경제 현황에 대해 공유하면서 정치인과 기업으로서 보는 양국 교류 방안을 얘기했다. 또 국가 및 기업 차원에서 AI 협업 가능성과 사례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최 사장은 수낙 전 총리에게 SK그룹과 SK네트웍스의 AI 기반 혁신사례와 글로벌 전략을 소개하고 "시대에 맞는 인류의 문명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영국 등 유럽 지역에도 우리 회사의 AI 사업이 진출하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 사장은 기술 기반 AI 사업을 주도하면서 SK네트웍스를 'AI 중심 사업지주회사'로 전환하고 있다. 지난달 발표회를 가진 '나무엑스(NAMUHX)'를 통해 AI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공기청정, 바이탈 사인 체크 기능을 선보인 바 있다. 나무엑스는 SK네트웍스의 AI 전략 아래 SK매직의 자원을 활용해 탄생한 웰니스 로보틱스 브랜드로, 오는 7월 국내 공식 출시하고 미국과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시장 진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실리콘밸리 인재들로 구성된 AI 스타트업 '피닉스랩'은 지난해 말 모듈형 RAG를 활용해 제약 산업에 특화된 솔루션 '케이론'을 공개, 기업 특성에 맞는 협력모델 구축 등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이날 최 사장과 수낙 전 총리 미팅 자리에 SK매직과 피닉스랩 대표도 함께 자리했다.
이 자리에서 수낙 전 총리는 "AI는 전 세계 수억 명의 환자들을 도울 수 있는 새로운 수준의 속도와 정밀성을 바탕으로 신약 개발의 미래를 혁신할 열쇠를 쥐고 있다"며 "피닉스랩의 케이론은 이 혁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잠재력을 가진 기술로 보인다"고 말했다.
SK네트웍스 관계자는 "보유 사업을 경쟁력을 높여 성과를 창출하는 동시에 글로벌 진출 및 협력 강화에도 힘써 미래 성장을 가속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고생 애들 학교는? 집은 어쩌나"…해수부 부산행에 직원 86% 반대하는 이유[관가 in]](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61310470097193_174977922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