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잇따라 전화 통화를 하기로 결정하면서 교착 상태인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공개된 사항을 기준으로는 이번이 3번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12일 푸틴 대통령, 젤렌스키 대통령과 잇달아 통화함으로써 종전 중재 외교를 공식화했다. 3월 18일에는 푸틴 대통령과 통화하며 '30일간의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에 뜻을 모았다.
이번 통화는 미국의 '조건 없는 30일 휴전' 제안에 우크라이나는 동의했지만, 러시아가 호응하지 않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좌절감'이 커지는 가운데 성사됐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11일 우크라이나와의 직접 협상 재개를 제안했지만, 정상끼리 만나자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역제안은 거부했고, 결국 16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협상이 이스탄불에서 열렸지만, 휴전과 관련한 합의는 하지 못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의 직접 대화, 조건 없는 휴전 등과 관련한 푸틴 대통령의 입장 변화를 끌어낼 수 있을지가 이번 통화의 최대 관전 포인트인 셈이다.
앞선 두차례 트럼프-푸틴 통화 때와 다른 점은 중재 외교 개시 초반에 보인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 푸틴, 친러시아 성향이 다소 희석된 국면에서 소통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백악관에서 열린 미-우크라이나 정상회담 때 젤렌스키 대통령을 거의 쫓아내다시피 했을 당시만 해도 미국은 휴전을 위해 우크라이나의 양보를 종용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미국은 러시아가 종전 조건으로 현재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외에 점령하지 않은 영토까지 요구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이자 달라지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대한 러시아의 대대적 공습 직후인 지난달 2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블라디미르, 멈추라"고 촉구했고, 같은 달 26일에는 푸틴 대통령이 종전을 원치 않는 것 같다면서 러시아에 금융제재 등을 가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