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영풍·MBK "고려아연, 한진家 상속세 지원 '파킹거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진 계열사 정석기업 투자수익 年 3% ↓
저리로 자금 빌려준 '파킹거래' 지적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영풍 과 MBK파트너스 측은 최 회장이 중학교 동창을 통해 집행한 한진그룹 계열사 투자가 한진그룹 상속세 재원을 위한 자금 지원이라고 지적했다. 본업과 무관하고 불분명한 목적으로 투자한 뒤 4년 만에 국채 5년물에도 못 미치는 연 3% 수준의 수익률로 회수했다는 이유다.


16일 영풍·MBK 측은 이같은 입장 자료를 발표했다. 앞서 한진그룹 지주사 격인 한진칼 은 고려아연 측에 콜옵션(지분 매입 권리)을 발동, 정석기업 지분 12.22%를 520만6200만원에 고려아연으로부터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앞서 한진칼과 오너 일가는 2021년 3월 고(故) 조양호 한진그룹 선대회장 별세로 발생한 2700억원 상당의 상속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정석기업 지분 12.22%를 투자목적회사인 재규어제1호유한회사에 매각했다. 이 회사는 최 회장의 중학교 동창인 지창배 대표가 운용하는 사모펀드가 설립한 회사다. 고려아연은 원아시아파트너스의 '저스티스 제1호 사모투자합자회사'의 지분 99.2%를 소유한 출자자(LP)이다. 고려아연은 원아시아파트너스가 2023년 이 사모펀드를 청산할 때 정석기업 지분을 취득했다.


고려아연이 4년간 정석기업 지분 투자로 거둔 차액은 39억원가량이다. 원아시아파트너스에 지급한 관리보수와 양도세 등을 고려하면 내부 수익률(IRR)은 3%를 밑돌 것으로 추정된다. 무위험자산인 국채 5년물 4년 평균 수익률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사실상 고려아연이 3%대로 한진그룹에 상속세 재원을 빌려준 셈이다.


영풍과 MBK 측은 지난해에도 최 회장이 지연을 활용해 원아시아파트너스에 무리한 투자를 일삼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특히 정석기업 지분 투자는 재벌 간 자금 지원 용도인 '파킹딜'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최 회장 측은 투자가치가 있는 기업에 대한 정상적 투자라고 반박했다.

영풍·MBK 측은 "정석기업 투자는 고려아연 본업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기업에 최 회장 개인 목적으로 회사의 소중한 자금을 유용한 대표적인 사례로, 원아시아파트너스 핵심 의혹 중 하나였다"며 "4년 만에 투자 원금을 돌려받는 수준의 거래를 함으로써 시장에서 그간 의심한 주식 파킹 거래였음이 입증된 셈"이라고 꼬집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고려아연 기자회견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최 회장은 이날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이사회 의장직을 내려놓고, 사외이사가 고려아연 이사회 의장을 맡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현민 기자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고려아연 기자회견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최 회장은 이날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이사회 의장직을 내려놓고, 사외이사가 고려아연 이사회 의장을 맡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현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