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국무회의, 40분 남겨두고 비공개 전환
"분야별 현안 논의…예산안 국회 통과 노력"
'퇴진 로드맵'은 물음표…정부 차원 언급 無
국정 수습에 나선 한덕수 국무총리가 내각을 불러모아 분야별 현안을 논의했다.
한덕수 총리는 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위원 간담회를 소집하고 "어떤 경우에도 국가는 안정적으로 운영돼야 하며 국민의 삶은 지켜져야 한다"며 "전 내각은 정부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국정에 한 치의 공백도 발생하지 않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해달라"고 밝혔다.
당초 한 총리는 오후 2시께 임시 국무회의를 예고했지만, 회의를 약 40분 남겨둔 시점에서 비공개 간담회로 전환했다. 총리실 측에서는 따로 의결할 안건이 없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지만, 한 총리-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체제에 대한 야권의 반발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총리실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에선 최근 국정 상황에 대해 국무위원 간 인식을 공유하고 외교·안보, 경제, 사회 등 분야별로 현안을 더 집중적으로 챙기는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과 부수 법안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선포한 비상계엄에 대해 사과하고 국정 운영을 당과 정부에 일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 총리는 당정 협력을 바탕으로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구상이지만, 국정 동력을 잃은 상태에서 거대 야당을 상대로 내년도 예산안 타결 등은 쉽지 않아 보인다.
한 총리와 한동훈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공동으로 발표했다. 한 총리는 국가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데 초점을 맞췄고,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의 '질서 있는 조기 퇴진'으로 국민에게 미칠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윤 대통령과 한 총리는 9일 낮 12시에 예정됐던 주례회동도 취소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 출범 이래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매주 월요일 한 총리와 만나 국정 전반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다만, 계엄 사태에 따른 퇴진 요구가 거센 상황을 고려해 일정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계엄 한 달만 1억2500만원 벌었다…"극우 유튜버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