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확보 한발 늦어…공관·집무실서 증거물 수집 주력
'12·3 비상계엄 사태'를 주도한 것으로 지목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해 경찰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8일 오전 비상계엄 관련 전담 수사팀이 김 전 장관의 공관, 국방부 장관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검찰이 이날 새벽 김 전 장관을 긴급체포하고 휴대전화를 압수한 가운데, 경찰에서도 혐의 입증을 위한 자료 확보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장관은 "국민적 의혹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8일 오전 1시30분께 스스로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출석해 조사받았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이후 6시간여 만인 오전 8시께 "전 국방부 장관 김용현을 긴급체포했고 소지하고 있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고 밝혔다.
경찰 입장에선 김 전 장관 신병·증거물 확보에 한발 늦은 모양새가 됐지만, 공관과 집무실 등에서 다른 증거물을 찾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내란죄'의 직접 수사는 경찰 소관이라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 6일 이번 사태 전담 수사팀을 120여명으로 꾸리고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김준영 경기남부청장 등 4명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받아 포렌식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당일 김봉식 서울청장부터 현장에 투입됐던 경찰관들의 무전기록자료를 제출받아 계엄 당시 경찰이 군의 요구에 따라 국회 출입을 통제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검찰과 경찰은 물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도 별도 고발 사건을 접수해 배당하면서 수사 주체,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은 당분간 격화할 전망이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국 큰손들과 '손절' 합니다"…작심한 업계 1위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