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아이오와주가 29일(현지시간)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을 시행하면서 낙태권 이슈가 대선 뇌관으로 급부상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아이오와주는 태아의 심장 박동을 감지할 수 있는 시점부터 낙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법을 이날부터 시행한다.
이전에는 임신 22주까지 낙태가 합법이었다. 이제는 임신 약 6주 이후에는 낙태할 수 없도록 한 것이라고 NYT는 설명했다.
해당 법안은 공화당이 주도했다. 2022년 미국 연방 대법원이 연방 차원에서 낙태 권리를 인정한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폐기한 이후, 공화당이 다수인 아이오와주의회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공화당 소속 킴 레이놀즈 주지사가 법안에 서명했다. 레이놀즈 주지사는 "생명의 승리"라고 말했다.
외신들은 이번 법안 시행이 대선을 앞둔 공화당 입장에서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에서 낙태권 옹호 여론이 낙태 금지 여론보다 우세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중도파 유권자들이 돌아설 수 있다는 것이다. 법안이 통과된 아이오와주의 경우에도 2016년, 2020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우세했다. 그러나 지난해 3월 레지스터·미디어컴 여론 조사에 따르면 낙태 합법을 지지하는 의견은 61%에 달했다.
민주당은 아이오와주의 낙태 금지법 시행을 대선 이슈화하며 공격에 나섰다. NYT는 "민주당이 아이오와주 등지에서 낙태권 지지를 표심을 잡는 데 유리하게 활용하려고 한다"고 평가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동영상 성명을 내고 아이오와주의 낙태금지법을 '트럼프 낙태금지법'이라고 부르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투표"라고 강조했다. 과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기 중 임명했던 대법관 3명으로 인해 대법원이 보수 우위가 됐고, '로 대 웨이드' 판결이 폐기됐다는 것이다.
해리스 부통령 캠페인은 아이오와주 법안 시행을 계기로 주요 접전 주에서 '생식의 자유를 위한 투쟁 행동 주간'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미 CNN 방송은 "해리스 부통령이 지지율을 높이는 가장 빠른 방법은 낙태 문제에 대해 그와 동의하는 유권자들을 견고히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정부에서 낙태권 문제 관련 트럼프 공격수 역할을 해왔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로 대 웨이드' 판결 폐기는 비판하지만, '낙태'라는 단어를 언급하는 것을 꺼리던 바이든 대통령과는 대조적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연방 단위의 낙태 금지를 공약하지 않고, 연방 대법원 판단의 취지에 맞게 각 주가 알아서 판단하도록 둬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공화당 부통령 후보인 J.D.밴스 상원의원은 강간 등의 경우에도 낙태가 정당화될 수 없다고 하는 등 과거 초강경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주당은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